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와 관련해 해당 지방자치단체 간 갈등으로 선택지에서 제외됐던 해평취수장안이 다시 물 문제 핵심 사안이 될 전망이다. 해평취수장안을 놓고 발생했던 갈등의 봉합과 함께 재발방지책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0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최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경북 안동댐과 구미 해평취수장 등을 방문했다. 지역에서는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 해결(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을 위한 행보로 보고 있다.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는 30년 넘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1991년 ‘페놀’ 유출 등 30여년 동안 구미공단 등에서 9차례나 발생한 낙동강 수질오염 사고를 계기로 대구 취수원을 구미공단 위쪽 낙동강 상류로 옮겨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됐고 이에 대구시가 취수원 이전에 나서게 됐다.
하지만 이전을 원하는 대구시와 물 부족 등을 우려하며 반대하는 구미시가 2009년부터 갈등을 빚었다. 2022년 4월 체결한 ‘맑은물 나눔과 상생발전 협정’(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으로 물 문제가 해결되는 듯 보였지만 민선 8기 시작과 함께 구미시의 입장이 변했고 다시 갈등이 시작됐다. 이에 대구시는 안동댐 물 공급으로 방향을 돌려 사업을 추진했다.
환경부 장관 방문을 계기로 해평취수장안이 다시 힘을 얻는 분위기다. 김 장관은 해평취수장 대신 구미보 상류 이전이 더 나은 방안이라고 주장하는 구미시 측에 반대가 예상되는 상주시와 의성군과의 조율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고 비용만 놓고 보면 해평취수장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2022년 당시 협정서가 여전히 유효한 지에 대해서도 검토할 뜻을 내비췄다.
대구시는 새 정부 들어 안동댐 물 이용안과 해평취수장안 모두 검토 대상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정부 역시 원점 재검토 방침을 밝힌바 있다. 하지만 해평취수장안이 다시 떠오르며 갈등 재연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 지자체들은 물론 낙동강 하류 부산·울산·경남까지 복잡하게 연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달 환경부와 대구시, 경북도, 안동시, 구미시, 상주시, 의성군, 예천군 실무자들이 참여해 열린 ‘낙동강 상류 취수원 다변화 관계기관 간담회’에서도 지자체간 입장차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구미시는 여전히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안동댐 물 이용안도 그동안 논의가 진행됐던 상황이라 사업이 무산될 경우 관련 지자체의 반발이 예상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