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60대는 민생회복 소비 쿠폰을 외식과 생필품에 골고루 많이 사용한 반면, 20·30대는 외식의 비중이 가장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는 최근 전국 만 20~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회복 소비 쿠폰 정책에 대한 국민 체감 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96.4%가 소비 쿠폰을 신청했으며, 이 중 81.1%는 실제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활용된 지급 방식은 신용·체크카드 연동형(80.0%)이었고, 이어 모바일 및 종이형 지역사랑상품권(10.5%), 선불카드(8.4%), 기타/잘 모르겠다(1.1%) 순이었다.
소비쿠폰의 주요 사용처는 식당, 카페 등 외식 업종이 66.7% 가장 많았다.
이어 마트·전통시장 등에서의 생필품 구매(61.9%)가 뒤를 이었다.
그 외에는 미용·의료(32.3%), 문화·여가(7.8%), 교육비(7.6%) 등으로 다양하게 분포되었다(복수응답).
연령대별로는 20~30대는 외식 관련 소비 비중이 높은 반면, 40~60대는 외식과 생필품 소비가 고르게 높게 나타났다
소비쿠폰 도입 이후 소비가 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5.19%가 ‘비슷하다’고 응답했다. 43.3%는 ‘소비가 늘었다’, 4.8%는 ‘줄었다’고 응답했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