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보이스피싱의 위험성을 강조하며 피해 근절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본인이 피싱 수법에 속아 넘어갈 뻔한 경험을 공유하며 민간과 공공기관이 경각심을 갖고 대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배 장관은 8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사옥에서 보이스피싱 대응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참석했다.
배 장관은 간담회에서 “보이스피싱 문제는 멀리 있지 않다. 저도 쓰레기 투기를 했다는 문자 메시지가 와서 링크를 눌러 보이스피싱 피해를 볼 뻔했다”며 “(진위 여부가) 정말 헷갈리는 부분이 많은데 작은 시작이 사고로 이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배 장관은 이어 “보이스피싱 문제를 정부가 더 각성하고 사전 예방 부분에서 고민을 많이 해야 한다”며 “인공지능(AI)으로 더 진화할 보이스피싱의 근본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국민에게 피해가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 집계에 따르면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증가 추세다. 올해 상반기에만 지난해 동기 대비 23% 증가한 1만2000여건이 발생했다. 피해액도 상반기 기준 6400억원으로, 98% 증가했다. 2023년 액수(4472억원)를 반년 만에 훌쩍 넘어섰다.
과기정통부는 보이스피싱 근절에 AI가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AI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예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데이터 공유·활용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관계 부처와 협업해 데이터 이용에 장애가 되는 걸림돌을 제거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기업들은 각사에서 운영 중인 보이스피싱 대응 프로그램을 소개했다. KT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보유한 실제 보이스피싱 통화 내용을 분석해 이를 기반으로 피싱 탐지 정확도를 높인 ‘실시간 통화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SK텔레콤은 2021년부터 경찰에 신고된 보이스피싱 전화번호의 수·발신을 자동 차단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AI로 조작한 ‘딥보이스’ 목소리를 탐지하는 기술도 개발 중이다. LG유플러스는 자체 개발한 AI 비서 앱 ‘익시오’ 앱에서 보이스피싱으로 의심되는 통화를 알린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