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보다 스마트폰”… 관세 위협 어디까지 미칠까 업계 근심

입력 2025-08-08 10:09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 시간) 워싱턴의 앤드루 W. 멜론 강당에서 열린 AI 정상회의에 참석해 연설한 뒤 서명한 AI 관련 행정명령을 들어 보이고 있다. AP뉴시스.

미국의 관세 위협과 관련해 반도체 섹터보다 개인용컴퓨터(PC), 스마트폰 등 정보기술(IT) 기기 분야가 더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록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8일 발간한 보고서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한 100% 관세 부과를 언급했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미국에 팹(생산공장)을 건설 중이거나 계획 중이므로 관세가 면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의 7일(현지시간) 발언을 염두에 둔 분석으로 보인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임기 동안 미국에 생산 설비를 짓겠다고 약속하고 이행하는 기업에 한해 반도체 품목별 관세를 예외로 한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미국 투자로 인해 미국 관세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현재로서는 반도체보다 스마트폰 등 IT 전자기기가 관세 위협에 더 가까이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 연구원은 “스마트폰과 PC 등에도 반도체처럼 관세가 부과되면 반도체 관세가 면제되더라도 미국 내 애플과의 경쟁에서 열위에 놓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최근 애플이 향후 4년간 미국 내에서 총 6000억 달러를 집행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는 정부의 스마트폰 관세 부과 가능성에 대한 선제적 대비책 성격으로 봤다.

김 연구원은 “이런 행보는 애플이 미국 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비롯한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의미”라며 “다음 주 발표될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서 반도체뿐 아니라 스마트폰 등 IT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율은 주요 체크 포인트”라고 강조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