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에 따르면, 50%의 관세가 부과된 브라질 정부는 자국 기업을 위한 지원책을 준비 중이다. 브라질 정부는 국영 개발은행이 관리하는 55억 달러(약 7조6천억 원) 규모의 수출보증 기금을 활용해 피해 기업에 신용대출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국내 고용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조건으로 기업에 낮은 이자율로 대출을 해주겠다는 것이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중국과 인도 등 브릭스(BRICS) 정상들과 미국 관세에 대한 공동 대응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룰라 대통령은 미국의 관세를 '용납할 수 없는 협박'이라고 비난한 바 있다.
39%의 관세가 부과한 스위스는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미국과 계속 협상할 방침이다. 카린 켈러주터 대통령 겸 재무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현재 협상팀이 미국에 머무르고 있다면서 새로운 협상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선진국 중 가장 높은 관세율이 적용된 스위스에선 경기침체 우려까지 제기되는 상황으로, 스위스 정부는 경제위기 상황에서 고용을 유지하기 위해 기업이 지불해야 할 임금을 정부가 대신 지급하는 '단축근로보상 제도' 신청 기간을 현재 최장 18개월에서 24개월로 늘리기로 했다.
40%의 관세가 부과된 라오스도 수출산업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의류제조업체 '디엡부'의 요하네스 소머스 회장은 "40% 관세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산업에 사실상 사형선고"라고 말했다.
영국을 비롯해 유럽연합(EU)과 한국, 일본 등 일부 무역 상대국은 협상을 통해 관세 인하를 끌어냈다.
그러나 15%의 관세에 합의한 EU 내부에서도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자동차 등 일부 품목은 15%의 관세율이 아닌 품목별 관세율 27.5%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독일자동차산업연맹 회장 힐데가르트 뮐러는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27.5% 관세는 독일 제조업체와 공급업체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EU 내부에서도 자구책을 찾는 움직임도 관측된다.
아일랜드는 미국에 크게 의존하는 경제 구조를 다변화하기 위한 계획을 검토 중이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