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된 지 5년이 채 되지 않은 교사들의 중도 퇴직이 울산과 부산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울산은 올해 들어 관련 비율이 전국 최고 수준으로 치솟아 교직 초기 이탈 문제가 지역 교육 현장의 심각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7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대식 의원(국민의힘·부산 사상구)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시도별 중도 퇴직 교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울산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 미만 교사의 중도 퇴직 비율이 0.06%에서 0.11%로 약 2배로 증가했다. 올해 울산의 해당 비율(0.11%)은 전국 평균을 웃도는 수치다.
같은 기간 부산도 0.03%에서 0.06%로 상승했다. 전체 중도 퇴직 교원 수는 감소세를 보였지만 임용 초기 교사들의 이탈 비율은 오히려 높아진 추세다.
올해 중도 퇴직한 울산 교사 221명 중 5년 미만 이탈자는 9명, 부산은 343명 중 10명이었다.
울산의 5년 미만 퇴직 교사 비율은 최근 5년 평균 0.07%로, 서울(0.06%), 경기(0.08%) 등 대도시권과 유사하거나 높은 수준이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울산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5년 미만 퇴직 비율을 기록했다.
반면 강원, 충북, 전남 등 일부 지역은 최근 들어 해당 비율이 감소하거나 뚜렷한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교사 대상 지원체계, 근무 여건, 지역 교육청 정책 등에 따라 편차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계 안팎에서는 교권 침해, 업무 과중, 초기 교사의 학부모 민원 대응 부담 등이 복합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최근에는 ‘교사 3년 차 무기력증’, ‘교직 후회자’ 같은 표현이 유행할 정도로 교직 지속 가능성에 대한 회의감이 확산하고 있다.
울산 지역 교원단체 관계자는 “교직 경험이 적은 신규 교사들이 학교 갈등 상황에서 위축돼 결국 사직을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단순한 통계 문제가 아니라 교직 기반이 흔들릴 수 있는 구조적 위기”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신규 교원에 대한 정서적·제도적 보호가 부족한 상황에서 중도 이탈이 계속된다면 지역 교육력 자체가 약화할 수 있다”며 “교육당국은 원인 진단과 함께 실효성 있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