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 추정 시신 인계하겠다”에 北 끝내 무응답… 시신 화장

입력 2025-08-05 16:15
통일부는 5일 “북한주민사체 송환 관련 당초 예고한 시한인 오후 3시까지 북한의 응답이 없었다”며 “북한주민사체 처리 지침에 따라 지자체에서 무연고자사체처리 절차에 의거 정중하게 장례를 치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민일보DB

정부가 인천 강화군에서 6월쯤 발견한 북한 주민 추정 시신을 5일까지 판문점을 통해 인계하겠다고 밝혔지만 북한 당국은 끝내 응답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해당 시신을 화장한 후 납골 상태로 보관할 예정이다. 북한 주민의 정확한 신원 파악을 위해 유전자 검사도 진행하기로 했다.

통일부는 5일 “북한 주민 사체 송환 관련 당초 예고한 시한인 오후 3시까지 북한의 응답이 없었다”며 “지방자치단체에서 무연고자 사체처리 절차에 의거해 정중하게 장례를 치를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자체는 화장터가 섭외되는 대로 시신을 화장 처리할 계획이다. 이후 지자체의 조례에 따라 소규모의 납골 형태로 보관한다.

정부는 시신의 유전자 검사도 진행하기로 했다. 유전자 확보를 통해 추후 북한에 인계 시 정확한 신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인도적인 차원이다. 통일부는 지난해 2월 인도되지 않은 북한 주민 시신의 유전자를 확보할 수 있도록 북한주민사체처리지침을 개정했는데 그 이후 유전자 검사가 진행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정부는 6월 21일 인천 강화군 석모도 해안에서 북한 주민으로 보이는 사체 1구를 발견해 인근 병원에 안치했다. 이 주민은 임시증명서와 함께 발견됐다. 임시증명서에는 고성철이라는 이름과 1988년 10월20일생 남성이라는 정보가 담겼다. 또 황해북도 금천군 강북리 21-1반에 거주하는 농장원으로 적혀 있었다. 이 밖의 유류품은 군인용 솜동복과 배지 등이 있었다.

정부는 동·서해에서 표류한 북한 주민 6명의 송환 문제를 우선 처리한 후 시신 인계에 나섰다. 남북 통신선이 단절된 상황이라 지난달 29일 언론을 통해 인계 의사를 전달했다. 인계 날짜는 이날 오후 3시, 장소는 판문점으로 제시하며 남북 통신선을 통해 입장을 알려달라고 북측에 전달했으나 아무런 답을 하지 않은 것이다.

북한은 남한을 ‘적대적, 교전 중인 두 국가’로 규정한 만큼 얼굴을 마주하고 시신을 인계해야 하는 절차를 꺼린 것으로 추정된다. 동·서해 표류 주민은 지난달 9일 해상에 제시된 좌표에서 간접적으로 송환이 이뤄졌기에 북한이 부담 없이 응답했지만, 판문점은 우리 측 인사와 북측 인사가 직접 접촉해야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북한도 부담을 느꼈을 것으로 보인다.

그간 북한 주민 추정 사체가 우리 영토에서 발견된 건 2010년부터 이번 사례까지 총 30번 있었다. 이 중 23번은 북한이 시신을 인도했지만, 7번은 넘겨받지 않았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