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오존 농도 관리 강화…저감 대책 등 추진

입력 2025-08-05 11:02
오존 대응요령 홍보물 일부.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고농도 오존 발생이 잦은 여름철을 맞아 오존 농도를 집중 관리하기 위해 산업 및 수송 분야 등에서 전방위적인 저감 대책을 추진 중이라고 5일 밝혔다.

오존은 대기 중 이산화질소와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햇빛과 반응해 생성되며 기도 및 폐 손상, 감각기관 자극 등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 등은 0.1ppm 농도에 30분만 노출되더라도 두통 등의 증상을 겪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시는 오존 예‧경보의 신속한 전파를 위해 ‘예보 알림톡’과 ‘경보 발령 알림’ 문자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경우 농도에 따라 주의보(0.12ppm 이상), 경보(0.3ppm 이상), 중대경보(0.5ppm 이상) 등 3단계의 오존 경보를 발령한다.

시는 또 직접 저감이 어려운 특성을 고려해 주요 원인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4월부터 현재까지 이산화질소와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 사업장 총 644곳 중 181곳을 점검해 7곳에 대한 경고, 고발, 과태료 부과, 개선명령 등 조치를 취했다.

교통 부문에서는 측정 장비와 비디오카메라를 활용해 차량 배출가스 단속 1만2187건, 터미널 및 주차장 등 불법 공회전 3162건을 단속했다. 이외에도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원인물질 저감을 위해 5등급 노후 경유차 2633대에 저공해 조치를 지원하고 전기차 및 수소차 등 무공해차 4935대 보급을 지원했다.

박성연 시 대기보전과장은 “고농도 오존 발생에 대비한 관리 대책을 적극 시행해 시민 건강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