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만에 재발한 대구 북구 노곡동 침수 사태가 인재라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시설 문제와 관리 주체 이원화 등 제도적 문제가 겹쳐 주민들이 물난리를 또 겪게 됐다는 평가다.
민간 조사관이 포함된 ‘노곡동 침수사고 조사단’(이하 조사단)은 4일 원인분석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마을을 관통하는 직관로 수문이 제대로 열려 있지 않았던 것이 침수 사고의 주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지난달 17일 폭우 때문에 금호강변 저지대인 노곡동에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 앞서 2010년에도 배수시설 결함 등으로 2차례 침수 피해를 겪었기 때문에 인재라는 지적이 잇따랐고 이에 대구시가 조사단을 구성해 원인 분석에 나선 것이다.
조사단은 직관로 수문의 경우 평상시나 강우 초기에 마을의 우수를 금호강으로 직배수하기 위해 100% 개방해야 하지만 수문 고장으로 지난달 7월 11일부터 3.18%만 개방된 상태로 운영돼 배수능력을 상실했다고 분석했다.
배수로 제진기(배수펌프로 유입되는 쓰레기 등을 걸러내는 기기)가 막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도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됐다. 직관로 수문 고장 때문에 직관로를 통해 배수돼야 할 물이 일시에 제진기 입구로 유입되면서 제진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당시 펌프장 수문 1개가 고장으로 닫혀 있었고 게이트펌프(수문에 달린 펌프) 1개도 고장으로 철거된 상태였던 점, 고지대에 터널 형태로 만들어진 고지배수로 입구의 침사지 운영 방식이 설치 목적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점 등도 사태를 키웠다고 평가했다.
조사단은 제도적 문제점도 지적했다. 빗물 펌프장과 고지배수로 등 노곡동 침수 피해 방지를 위해 설치한 시설물 관리 주체가 대구시와 북구로 나뉘어져 운영·관리 일관성 확보가 어렵다고 분석했다.
조사단은 단기적으로 태풍이나 집중호우에 대비해 배수 시설물 긴급안전 점검, 산불 지역 등의 부유물 대량 유입 차단시설 설치 등을 제시했다. 중장기적으로 침사지 우수 흐름 개선대책 수립, 노곡동 배수시설 운영관리 체계 일원화, 우회 배수시설 설치 등 방재시스템 보강·개선과 방재시설 통합관제시스템 체계화를 제안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