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발 물러선 스위스…39% 상호관세 피하려 ‘협상안 수정’

입력 2025-08-04 10:07 수정 2025-08-04 12:11

스위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39% 상호관세 압박에 결국 협상안을 수정키로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격노’로 고율관세가 적용됐다는 일부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했다.

로이터통신은 3일(현지시간) 기 파르믈랭 스위스 경제장관이 4일 연방내각 특별회의를 열고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파르믈랭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왜 이런 결정을 내렸는지 완전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며 “시간이 촉박하고 (상호관세 발효일인) 7일까지 무언가를 달성하기 어려울 수는 있지만 (미국에) 선의를 보이고 우리 제안을 수정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는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구매와 스위스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 등을 추가 제안 옵션으로 구상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파르믈랭 장관은 지난달 31일 블룸버그통신을 비롯한 일부 외신의 고율관세 적용 배경에 트럼프 대통령의 격노가 있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했다. 그는 당시 정상 간 통화가 성공적이지 않았다고 인정하면서도 “(정상 간) 언쟁은 없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처음부터 완전히 다른 관점을 갖고 있었다”고 해명했다.

스위스는 미국 시장이 시계·제약품·기계류 등을 수출하는 최대 판매처로 높은 관세가 적용되면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은 15%의 대미 관세를 적용받았다. 스위스는 지난 4월 처음 발표한 31%에서 오히려 8% 올라 정부와 업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