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지난 31일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경남관계기관합동’으로 대미수출기업과 지역경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 속도감 있는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3일 밝혔다.
정부는 한미 관세협상 결과 미국이 우리나라에 이달 1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했던 관세율이 25%에서 15%로 낮아진다고 지난달 31일 공식 발표했다.
합의 내용에 따르면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 또 향후 관세 부과를 예고한 반도체와 의약품 등에 대해서도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기로 했고 추가적인 농산물 시장 개방은 없다.
1500억 달러 규모의 한미 조선협력 펀드는 미국 조선소 인수·확장, 선박 건조, 유지보수(MRO), 조선 기자재 등 우리 기업 수요에 기반한 프로젝트에 투자될 예정이다. 우리 기업들과 소프트웨어에 강점이 있는 미국 기업들이 힘을 합하면 자율운항 선박 등 미래 선박 분야에서 시너지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국내외 불안정 속에서도 경남의 올해 상반기 누적 수출액은 227억 달러로 전년 같은 기간 누계액 대비 7.4% 증가했다.
선박 분야는 K-조선업 중심지답게 고부가가치 선박의 지속적 수출로 실적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1.6% 증가해 이번 합의가 조선업 부흥의 촉진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 자동차의 올해 상반기 대미 수출액도 17억 9900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10.8% 증가했다.
도는 자동차부품 제조공정 기술 고도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여갈 방침이다.
또 수출물류비 지원, 수출보험료 지원 규모를 확대했다. 앞으로도 수출 대체시장 발굴과 품목 다변화를 위해 다양한 국가를 대상으로 해외 마케팅 지원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명주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지역 수출액은 2022년 10월 이후 33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고 있고 올해 상반기 대미 수출 비중은 23.7%를 차지하는 저력이 있다”며 “이번 대미 관세 15%가 경남 경제·산업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정부 정책과 연계해 단기, 중장기 대응책 마련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