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가 미국에 39%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가운데 그 배경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격노’가 있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스위스 대통령이 상품수지 불균형 해소에 ‘성의’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보도에 따르면 양국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오후 8시(스위스 시간)에 통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무역합의 시한을 10시간 남겨둔 시간이었다. 합의가 불발되면 스위스는 31%의 상호관세가 부과될 예정이었다.
통화에서는 양국 정상 간 통상 관계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 격차는 상당했다. 스위스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연간 400억 달러(약 56조원) 수준인 스위스의 대미 상품수지 흑자를 문제 삼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스위스가 미국으로부터 돈을 훔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를 요구했다.
카린 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에도 도움이 될 만한 제안을 내놓지 않았다. 이에 격노해 미국은 스위스에 대해 오는 7일부터 39%의 상호관세를 적용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4월 2일에 발표했던 31%보다 8% 포인트 높은 관세가 부과된 것이다.
켈러-주터 대통령은 통화 다음 날인 1일 ‘스위스가 미국으로부터 돈을 훔쳐왔던 것이나 마찬가지니 무역적자에 상응하는 관세율을 얻어맞아야 한다’는 생각은 “말도 안 된다”며 반박했다. 워싱턴DC로 가 추가 협상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겠지만 양측 입장이 더 좁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스위스가 39%의 관세를 적용받으면 관세율이 15%에 불과한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보다 훨씬 불리하다. 특히 대미 수출액 중 60%를 차지하는 제약업에 큰 타격이 예상된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와 별도의 약값 인하를 압박하고 있어 스위스 제약업계는 이중고에 처했다.
원 합의안 초안에는 스위스 제약사들의 수출에 관세를 면제해주는 내용이 포함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지난 1일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스위스산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자국 내 생산을 유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스위스산 고가시계는 관세로 더욱 비싸질 예정이다. 대표적으로는 롤렉스, 파텍필립, 오메가 등이다. 스위스시계산업연맹은 미국의 39% 관세 결정에 대해 ‘매우 실망했고 놀랐다’고 밝혔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