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 폭염에 고양시 살수차·냉방비 등 폭염 대응 총력

입력 2025-08-03 12:32
열섬현상 완화를 위해 고양 도심 전역에 배치된 살수차. 고양시 제공

경기 고양시는 전국적인 폭염에 대응해 행정력을 총동원하며 도심과 취약계층 모두를 아우르는 빈틈없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최근 전국 온열질환자 수는 전년 대비 약 3배인 2400명에 달했고, 가축 폐사도 전년 대비 10배인 100만 마리를 넘어서며 피해가 속출하는 상황에서, 고양시 역시 올해 7월 말까지 온열질환자가 34건으로 지난해(14건)의 2.4배에 이르는 등 심각한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

고양시의 폭염특보 발령일도 해마다 급증해 2022년 24일, 2023년 38일, 2024년 70일을 기록했고, 올해는 7월 말까지 이미 24일에 달한다. 본격적인 더위가 8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기록 경신도 예상된다.

이에 시는 도심 주요도로 전체에 살수차 12대를 민·관·군 협력 체계로 집중 투입해 체감온도 저감을 적극 추진 중이고, 군부대 제독차 4대와 민간 건설사 협업으로 공사장 인근 도로에도 살수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화정역에는 ‘쿨링앤클린로드’를 운영,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매 정시 20분씩 지하수 활용 쿨링을 확대해 체감온도 저하에 힘쓰고 있다.

야외근로자 보호도 강화됐다. ‘폭염안전 5대 수칙’ 이행점검은 물론, 체감온도 33도 이상시 2시간 이내 20분 이상 필수 휴식을 부여하고, 폭염 시간대의 작업 중지까지 권고한다. 축산농가에는 면역증강제와 백신, 환풍구, 에어컨 등 각종 장비 지원도 이뤄졌다.
원흥 복합문화센터 건립 공사 현장을 찾은 이동환 고양시장. 고양시 제공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선제적 복지망도 촘촘하게 가동 중이다. 지난달에는 기부금을 활용해 취약계층 462가구에 10만원씩 냉방비를 지원했고, 8월 초에는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 계층 2만6000가구에 가구당 5만원씩 총 13억원을 지급할 예정이다.

중증장애인 1700가구에는 3개월간 월 4만원씩, 장애인 거주시설에는 정원 기준 월 10~50만원의 냉방비가 차등 지원된다. 시는 무더위쉼터 1370곳도 사전 점검 완료, 복지시설·경로당·요양시설 등도 포함해 안전망을 빈틈없이 구축했다.

홀몸 어르신, 중증 재가장애인 등 돌봄이 필요한 취약계층 5800여명을 대상으로 생활·활동지원사가 주기적으로 안부를 확인하고, 폭염특보 시 긴급 점검 및 119·의료기관과 연계한 위기 조치도 마련됐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시민 모두는 소득과 상관없이 재난으로부터 안전할 권리를 가진다”며 “도시 전체가 폭염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