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둔화에도 여전히 높은 집값 부담에 경기도와 인천으로 눈을 돌리는 주택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 이른바 ‘탈서울’ 흐름이 뚜렷해지며 하남·광명 등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아파트를 사는 사람 10명 중 3명 이상이 서울 거주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부동산원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 6월 경기도 아파트 매매 거래는 총 1만9332건으로, 이 중 서울 거주자의 매입 건수는 2558건(13.2%)에 달했다. 전월(12.6%) 대비 0.6%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서울 거주자 매입 비중이 가장 높았던 곳은 하남시다. 6월 기준 하남 아파트의 서울 거주자 매입 비율은 35.8%로, 경기도 전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전월인 5월에는 무려 42.1%까지 치솟았다. 광명시 역시 34.9%로 2위를 차지하며 하남과 함께 ‘탈서울 수요’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김포(24.2%), 의정부(20.9%), 고양(20.7%) 등 경기 북부와 서부 지역에서도 서울 거주자의 매입 비중이 20%대를 넘기며 뚜렷한 수요 이동이 나타났다.
인천으로 확산되는 움직임도 뚜렷하다. 지난 6월 인천 아파트 거래 중 서울 거주자 비중은 7.4%로 전월(6.6%) 대비 0.8%포인트 상승했다. 계양구는 11%로 서울 수요 유입이 가장 활발했고, 서구와 부평구도 각각 9.4%를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서울 집값 상승에 대한 피로감이 누적되면서 경기도와 인천 등으로 눈을 돌리는 수요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 실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값은 3.36%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경기도(-0.27%)와 인천(-0.90%)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탈서울’ 현상은 단순한 매매 수요 이동을 넘어 인구 구조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6월 서울의 총인구는 932만5616명으로 1년 전보다 4만명 이상 줄었다. 2022년 이후 감소한 인구만 약 40만명에 달한다.
이다연 기자 id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