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선 경북도의원 “산업용 전기요금 반값 인하 촉구”

입력 2025-08-01 13:59
박용선 경북도의원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산업용 전기요금 반값 인하를 촉구하는 1인 시위에 나섰다. 박용선 의원 제공


경북도의회 박용선(포항) 의원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산업용 전기요금 반값 인하를 강력히 촉구하는 1인 시위에 나섰다.

박 도의원은 이날 시위를 통해 현재 국내 철강산업은 물론 지방 제조업 전반이 처한 산업용 전기료에 대한 국가 정책의 근본적인 전환을 요구했다.

박 도의원은 입장문에서 “지금 포항의 제철소 용광로가 차갑게 식고 있고 중국, 일본의 저가 철강재 뿐만 아니라 높은 산업전기료가 철강산업을 무너뜨리고 있다”며 “고관세(철강산업 50%)에 산업용 전기요금이 미국보다 비싼 상황에서 어떻게 철강산업의 경쟁력이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비싼 산업용 전기요금을 해결하지 않는다면 철강기업뿐 아니라 국내 제조산업의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며 경고했다.

박 도의원은 산업용 전기요금이 최근 2년 사이 두 배 가까이 인상됐으며 원전과 같은 전력생산지가 모두 지방에 있음에도 정작 전력생산지에 따른 전기료 등 혜택은 전무하고 오히려 수도권만 그 혜택을 누리는 구조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이어 “산업용 전기료 인하를 통해 지방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도의원은 이를 위해 △산업용 전기요금의 최소 절반 수준 인하 △전기요금 결정권의 시⋅도지사에 이양 △‘분산에너지 특별법’의 지역 차등 요금제와 특화단지 지정 즉시 실행 △전력 생산지에 대한 재정⋅세제⋅인프라 우선권 보장 △‘철강산업 지원특별법’ 제정 등을 촉구했다.

그는 “지방의 생존과 국가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지키기 위한 본질적 과제는 산업용 전기요금 개혁”이라며 “수도권에 밀집돼 있는 반도체 등 주요 제조업체의 지방이전을 통해 일자리가 창출되면 국가적 과제인 지방소멸을 막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실효적 해결책도 제시했다.

박 도의원은 “이번 시위는 단발적 정치 이벤트가 아니라 실질적 제도 전환을 위한 행동의 출발점”이라면서 “포항만이 아니라 광양, 당진, 울산, 창원도 함께 이 고통을 겪고 있다”며 전국 제조업 도시들과의 연대도 시사했다.

포항=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