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바라본 이재명 대통령의 모습을 소개했다.
강 실장은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된 31일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아무렇지 않은 얼굴 밑으로 피 말리는 심정을 숨겼던 지난 며칠이었다”며 협상 과정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
특히 강 실장은 “대통령은 자주 답답해했다. 평소에 막힘없던 그가 신중에 신중을 거듭했고, 집중하고 또 집중했다”며 “협상이 어떤 국민에게 예상치 못한 부담으로 돌아가진 않을까 하는 염려와 모든 답답한 순간에도 돌파구를 찾아내려는 대통령의 고심이 읽히는 시간이었다”고 회상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새벽 마지막 3실장(비서실장·정책실장·국가안보실장)과의 회의와 장관들과의 화상통화를 마친 뒤 강 실장에게 “제 방에 갑시다”라고 제안했다고 한다. 이어 “강 실장님, 우리 역사에 죄는 짓지는 말아야죠”라고 나지막이 말했다고 한다.
강 실장은 이어 “그리고 오늘, 통(대통령)님에게서 ‘점심하러 가시죠’라던 말씀을 들었을 때, 비로소 뭔가 한 단락이 지어졌다는 게 실감 났다”며 “내장국 한 그릇으로 회포를 풀고, 시민들을 만나 웃음을 나눴다. 사진을 요청하는 사람도, 찍히는 사람도, 찍어주는 사람도 서로 눈으로 고생 많았다는 인사를 전한 것 같다”고 적었다.
강 실장은 “대통령의 고심과 결단, 한마음으로 매달렸던 전 부처와 대통령실의 실무자들의 노력과 팀워크. 모든 것들에 감사한 날”이라고 글을 마무리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관세 협상을 타결한 뒤 고위공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특별 강연에 나서 관세 협상 과정에서 겪은 답답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제가 이빨이 흔들려서 사실은 말을 안 해서 그렇지, 제가 가만히 있으니까 진짜 가마니인 줄 알고 말이야, 말을 하면 악영향을 주니까 말을 안 한 거예요”라고 털어놨다. 일각에서 관세 협상 회의를 이 대통령이 주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한 것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됐다.
이어 “그러나 말 안 하는 와중에 오리가 물살에 떠내려가지 않기 위해서 우아한 자태로 있지만 물밑에서는 얼마나 생난리인가. 우리가 얼마나 노심초사하면서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지 가까이 있는 참모분들은 안다”고 말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