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 특별위원회’(3대 특위)가 첫 공식 일정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수감된 서울구치소를 찾았다. 김건희 특검 간사를 맡은 장경태 의원은 “많은 의혹들이 새롭게 확인되는 내실 있는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전현희 3대 특위 총괄위원장 등 3대 특위 위원들은 31일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를 방문해 현장점검에 나섰다. 특위 위원들은 서울구치소장과 면담 후 현장시찰과 기록검토 두 팀으로 나눠 윤 전 대통령의 특검 소환조사 불응과 관련해 제기되는 각종 특혜 의혹 등을 확인했다.
전 총괄위원장은 김현우 서울구치소장과의 면담에 앞서 “윤 전 대통령이 특검 조사에 응하지 않고 재판에도 출정하지 않는 상황에서 조사 거부와 재판 출정 거부 이유가 정당한 건지 그리고 세간에 제기되는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특혜 제공 의혹에 대해 현장에서 사실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찾았다”고 밝혔다.
특위 위원들은 윤 전 대통령의 강제 인치 불응을 주로 캐물었다. 서울구치소 의료팀장은 윤 전 대통령 건강 상태를 묻는 김병주 내란특검 및 해병특검 위원장 질문에 “수사를 못 받을 정도로 크게 건강 상태가 악화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조사 정도는 수용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답했다.
서울구치소장을 향해 “전직 대통령 신분을 고려해 강제 인치에 소극적인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에 김현우 서울구치소장은 “전직 대통령이라는 이유로 인치하지 않을 것이 아니다”라며 “교도소 안전이나 질서, 수용자의 생명 보호나 자해방지 경우에만 강제력을 행사하게 돼 있다. 전례나 기존의 인치 집행 사례 등을 보고 판단해서 수차례 걸쳐서 본인 설득 과정을 통했지만 완강히 거부하는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김 소장은 윤 전 대통령처럼 구인을 거부하는 재소자가 많다고도 했다. 그는 “(그런 상황에서는) 불출석 사유를 받아 법원이나 검찰에 통보해주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저희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특위는 기록 검토를 통해 윤 전 대통령의 변호인 접견 시간 및 주요 인사 특별 접견 명단 등을 확인했다. 김 위원장은 현장점검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이 변호인 접견을 통해 수시로 밖으로 나오는데 변호인 접견 장소도 일반 변호인 접견과 다른 장소에서 하는 특혜가 확인됐다”고 했다. 장 의원은 “그간 변호인 접견 및 특별 접견, 접견 시간 등에 대한 검토가 있었다. 조만간 추가로 관련 의혹과 확인된 내용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의왕=성윤수 기자 tigri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