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연성 폐기물 연료화 시설(SRF) 운영비를 두고 광주광역시와 2000억원대 분쟁을 벌이고 있는 광주 SRF시설 운영사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광주광역시의회 소속 의원들은 30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이앤씨는 최근 수년간 광주 SRF시설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와 관련해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은 채, 이제는 시민 혈세까지 노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광주 SRF시설에서는 지난 2022년 9월16일 건조기 인근에서 작업하던 20~40대 하청업체 근로자 3명이 화상을 입었다. 지난해 10월24일엔 북구 소속 60대 환경미화원이 폐기물 반입 도중 반입장 5m 아래로 추락해 다쳤다.
또 지난 2월28일에도 광주 SRF시설 외부 도로에서 지게차로 적재물을 반출하던 중 적재물이 미끄러지며 주변에 있던 30대 하청 근로자를 덮쳐 부상을 입었다.
시의회는 안전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SRF 운영비용 증가 등을 이유로 광주시에 배상을 요구하는 중재 절차에 나선 포스코이앤씨 행태를 강하게 비판했다. 포스코이앤씨 측은 지난 3월 대한상사중재원 중재 신청액을 당초 78억원에서 2100억원으로 돌연 27.4배 증액해 지역사회의 공분을 샀다.
광주시는 대한상사중재원의 중재를 포기하고 소송을 진행하려 했지만 포스코이앤씨 측은 거부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포스코이앤씨가 단심제로 운영되는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심판을 악용해 막대한 이익을 챙기려 한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이에 대해 광주시의회는 “올해만 5건의 산업재해 사망 사고로 대통령으로부터 강한 질타를 받은 포스코이앤씨가 광주에서 시민의 혈세를 노리고 후안무치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면서 “광주시의회는 포스코이앤씨가 무리한 중재 절차를 즉각 중단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사법절차를 통해 해법을 찾아 나가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9일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포스코이앤씨 산업재해 사망사고를 언급하며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아니냐”며 강하게 질타했다. 포스코이앤씨 측은 같은날 기자회견을 열고 모든 현장의 작업을 무기한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