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산 넘어 산입니다. 중요한 건 그 산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평지처럼 건너는 실력입니다.”
최병락(52) 강남중앙침례교회 목사는 최근 펴낸 신간 ‘큰 산 깨기’(넥서스CROSS)에서 신앙을 가로막는 삶의 문제들을 ‘산’에 빗대어 설명했다. 불신 죄 의심 두려움 관계 경제 질병 상처 핑계 시험. 이른바 ‘열 가지 인생의 산’을 하나하나 짚으며 성령 안에서 이 산들을 넘는 길을 제시한다.
“한국인에게는 산의 비유가 익숙합니다. 문제를 겪을 때 ‘산 넘어 산이다’ ‘첩첩산중이다’ 같은 표현을 쓰지요. 신자들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최 목사는 목회 현장에서 성도들이 마주한 산들을 보며 성경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책을 썼다고 설명했다.
그가 꼽은 가장 큰 산은 두려움이다. “목회자는 두려움 앞에 자주 섭니다. 백성을 이끄는 부담, 새로운 사역에 대한 불확실성, 실패에 대한 염려, 하나님 앞에 서는 경외심까지 다양한 두려움이 늘 함께합니다.”
관계도 산이다. “목회자는 위로는 하나님을 향하고 곁으로는 성도를 향합니다. 관계를 유지하고 회복하고 발전시키는 일은 목양의 핵심입니다. 하나님을 사랑하지 못하면 형제를 사랑할 수 없고 나를 사랑하지 못하면 이웃도 사랑하기 어렵습니다.”
책에는 이러한 고민과 응답이 담겼다. “사람은 큰 산이나 바위에 걸려 넘어지지 않는다.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했던 작은 돌부리에 걸려 넘어진다.” “큰 산을 무너뜨리기 전에 내 안의 산을 먼저 무너뜨리는 성령 충만이 필요하다.”
책 출간과 함께 시작된 ‘큰 산 깨기 챌린지’는 실천을 강조하며 최 목사가 고안한 프로그램이다. 유튜브에 올린 영상 콘텐츠와 책을 함께 활용해 매일 실천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머리로만 하는 독서는 완성이 아닙니다. 손과 발로 이어져야 온전한 독서입니다. 어떤 분은 두려움 때문에 미뤄온 이직을 결심했고 어떤 분은 깨진 가족 관계를 회복했다고 하더군요.”
산을 넘는 그의 신앙 여정은 청소년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학교 2학년 여름 수련회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만났고 그날 죄 사함과 구원의 확신을 얻었다고 했다. “그때부터 제 신앙은 한 번도 흔들린 적 없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 말 새벽기도 중에는 이사야 6장을 통해 목회자로서의 부르심을 받았다. “두 시간 가까이 울며 순종을 고백했습니다. 그 뒤로 목회를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은 단 한 번도 해본 적 없습니다.”
그는 목회자에게 가장 중요한 두 가지로 ‘구원의 확신’과 ‘부르심의 확신’을 들었다. 구원의 확신이 있어야 태산 같은 시험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부르심의 확신이 있어야 어려움 속에서도 자리를 지킬 수 있다는 것이다.
목회 인생의 전환점은 2018년 강남중앙침례교회 부임이었다. 미국 텍사스 댈러스에서 세미한교회를 개척해 17년간 사역하던 중 이뤄진 결정이었다. “21년간 미국에 살면서 모든 것을 목회에 쏟았습니다. 갑자기 나라를 옮긴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세계와 미국과 한국’이라는 세미한교회의 비전을 이루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확신이 들었다. 국경이라는 산을 넘어 그는 한국에 왔고 지금도 두 교회는 하나님 나라 확장을 위한 비전을 공유하고 있다.
“청빙 이야기를 성도들과 나눴을 때 처음엔 반대가 많았지만 결국 뜻을 모아 저를 파송해 주셨습니다. 지금도 강남중앙침례교회와 세미한교회는 형제협약을 맺고 교회 개척, 선교, 사역 활성화를 함께하고 있습니다.” 최근엔 두 교회가 몽골에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를 세우는 일에도 협력했다.
강남중앙침례교회의 목회 비전은 ‘예루살렘교회 재현’이다. 최 목사는 초대교회 사역을 다섯 단어로 정리한 ‘W.O.R.L.D.’ 모델을 소개했다. 예배(Worship), 소그룹(Oikos), 나눔과 섬김(Reaching out), 전도와 선교(Life giving), 제자 양육(Discipleship)이다. “예루살렘교회는 오래된 교회지만 우리가 지향할 미래교회입니다. 이 다섯 사역을 오늘날 한국교회에 다시 세우고 싶습니다.”
이 비전은 목회라는 큰 산 앞에 선 동역자들과 함께 오르는 여정으로 이어진다. 교회는 매년 55세 미만 담임목회자 50명을 선발해 3박 4일간 세미나를 연다. 이후 이들이 시무하는 교회와 5년간 협력하며 W.O.R.L.D. 사역이 각 교회에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개척 초기의 불안정한 지형, 목회적 고립 속에 놓인 이들에게 이 프로그램은 산길을 함께 걷는 셰르파 같은 역할을 한다.
“해마다 5대 1의 경쟁률 속에 목회자들이 지원합니다. 지금까지 157개 교회가 회원·협력교회로 참여했고, 매년 50곳 이상이 새로 추가되고 있습니다. 열매도 많습니다. 최근 회원교회 중 한 곳은 나눔과 섬김 사역의 하나로 지역 노숙인을 위한 무료 진료소를 열었습니다.”
최 목사는 아직 산 앞에 멈춰 선 이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산은 인생에서 늘 앞을 가로막습니다. 하지만 산을 옮기는 법보다 넘는 법을 배우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믿음의 키가 산보다 커지면 그 산은 더는 장애가 아닙니다. 하나님은 지금도 여러분보다 앞서가시며 그 산을 평지로 만들고 계십니다.”
손동준 기자 sd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