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오는 2030년까지 전력 자립률을 13.5%로 끌어올리고, 온실가스는 13.2%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 ‘제7차 지역에너지 계획’을 29일 확정했다.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을 위한 지역 중기 전략으로, 5년마다 수립되는 법정계획이다.
부산시는 이번 지역에너지 계획을 통해 전력 자립률 향상 외에도 분산형 전원 보급 274% 확대, 에너지 수요 15.3% 감축, 온실가스 2164만t 수준으로 감축 등의 목표를 세웠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효율화, 시민 참여형 사업 등 총 74개 세부 사업이 추진된다.
공급 부문에서는 태양광·풍력·연료전지를 중심으로 발전량을 현재(738GWh)보다 390% 많은 3620GWh로 확대한다. 특히 다대포, 청사포, 기장 일대 등지에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조성하고, 산업단지 및 공공부지를 활용한 태양광 설비도 대폭 늘릴 계획이다.
수요관리 부문에서는 산업·수송·건물·공공 등 4개 영역에서 절감 목표를 설정하고, 스마트공장 보급, 전기차·수소차 인프라 확대,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취약계층 에너지바우처 등 다양한 사업이 병행된다. 이를 통해 기준수요 735만 TOE(석유환산t) 대비 112만 TOE를 줄인 622만 TOE 달성이 목표다.
2030년까지의 에너지 수요 감축률은 15.3%,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약 3.6T Wh(테라 와트시)로 확대된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2년 기준 2492만t(CO₂eq)에서 2164만t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계획 수립 과정에서는 시민 10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공청회를 열었고, ‘클린에너지 청년서포터즈’ 등 소통 프로그램을 운영해 의견을 수렴했다. 또 에너지 효율 및 수소 산업 실무단 등 전문가 그룹의 검토도 거쳐 지난달 에너지정책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확정됐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4차 첨단산업의 확장은 도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인 동시에 전력 수요의 급증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적극적인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시민 참여형 에너지 정책을 통해 녹색도시 부산을 실현하고, 에너지산업이 지역경제에 이바지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