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달 서해에서 발견한 북한 주민 추정 사체 1구를 다음 달 5일 북한에 인도하겠다고 밝혔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29일 “6월 21일 인천 강화군 석모도 해안에서 북한 측 주민으로 보이는 사체 1구를 발견해 인근 병원에 안치하고 있다”며 “인도주의와 동포애 차원에서 이 사체와 유류품을 8월 5일 15시에 판문점을 통해 북측에 인도하고자 하니 남북 통신선을 통해 입장을 신속히 알려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남북통신선이 2023년 4월부터 단절된 상황을 고려해 언론을 통해 대북 통지 내용을 통보했다.
해당 북한 주민은 임시증명서와 함께 발견됐다. 고성철이라는 이름을 가진 1988년 10월20일생 남성이며 황해북도 금천군 강북리 21-1반에 거주하는 농장원이다. 유류품은 군인용 솜동복과 배지 등이 있었다.
통일부는 언론에 대북 통지 내용을 통보하기 전 유엔사와 협의를 통해 북한에 사체 발견 사실을 알렸다고 설명했다. 다만 북한은 관련 사실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통일부 관계자는 “유엔사 통해서 복수로 수차례 통보를 했다”며 “북한의 반응은 없었다”고 말했다.
통보 시점이 늦어진 이유는 9일 송환된 북한 표류 주민 6명을 먼저 돌려보내기 위해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 통신선이 단절된 상황에서 한 번에 두 가지 사안을 다루기보단, 송환 문제부터 정리한 후 사체 인도를 검토한 것이다.
북한이 남북통신선을 통해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게 되면 북한주민사체처리지침에 따라 무연고로 처리한 후 화장하게 된다. 그간 북한 주민 추정 사체가 우리 영토에서 발견된 건 2010년부터 총 29번 있었다. 이 중 23번은 북한이 시신을 인도했지만, 6번은 넘겨받지 않았다. 인수는 모두 판문점에서 이뤄졌다.
가장 최근 북한 주민 시신이 발견된 건 2023년 9월이며 당시에도 남북통신선이 단절된 상태에서 북한은 아무런 응답을 하지 않았다. 해당 사체는 무연고 처리됐다. 같은 해 5월과 2022년 11월에도 북한 주민 시신이 발견됐지만, 사체 인도는 이뤄지지 않았다.
통일부는 지난해 2월 인도되지 않은 북한 주민 시신의 유전자 정보를 진행할 수 있도록 북한주민사체처리지침을 개정했다. 이번에 발견된 사체는 신원이 파악됐기에 따로 유전자 검사는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