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최근 집중호후로 인한 상수관 파손 재발을 막기 위한 대책으로 해당 관로의 복선화를 서두르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김두겸 시장은 이날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번 사고로 불편을 겪으신 모든 시민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2035년 계획된 ‘천상~언양 송수관 복선화 사업’을 최대한 앞당겨 추진한다.
하천 내 위험에 노출된 송수관의 대체 관로를 만들고, 언양배수지 개선사업도 병행해 시민 불안을 해소할 계획이다.
시는 현재 연간 1500억원의 상수도 특별회계 예산 중 시설개선사업비는 700억원으로 부족한 실정이지만 일반회계에서 지원해서라도 조속히 대체 관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현재 천상정수장에서 언양1가압장까지 태화강을 따라 매설된 송수관로는 연장 12㎞, 지름 900㎜ 규모로 약 20년 전인 2004년에 매설됐다.
앞서 지난 17∼19일 사이 울산지역에는 최대 330㎜이상의 폭우가 내리면서 태화강 유량과 유속이 급증해 19일 낮 12시, 범서읍 사연리 일원의 송수관이 파손, 울주군 서울주 지역에 수돗물 공급이 중단됐다.
울산시상수도사업본부는 파손 관로 교체를 위해 20일 오전 10시부터 언양읍·삼남읍·두동면·두서면·삼동면·상북면 등 울주군 서부지역 6개 읍·면에 단수 조처를 했다.
그러나 파손 지점을 곧바로 찾는 데 어려움을 겪은 데다가, 수돗물 재공급 초기 흐린 물이 섞여 나오면서 약 6만8000여명의 주민이 4∼5일가량 식수와 생활용수를 제대로 공급받지 못하는 등 큰 불편을 겪었다.
이 기간 시와 지역 기업, 소방, 울주군, 군부대 등은 4만병의 생수를 지원하고 급수차 200여대를 동원해 급수에 나섰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