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모기 왜 안 보이나 했더니…‘이것’ 때문이었다

입력 2025-07-27 14:36 수정 2025-07-27 14:43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지나치게 무더운 날씨와 짧아진 장마 영향으로 올여름 모기 활동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9월과 10월에도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가을 모기’가 기승을 부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7일 서울시 ‘모기 예보’에 따르면 이날 모기 발생지수는 2단계인 ‘관심’ 수준이다.

모기 예보는 쾌적→관심→주의→불쾌 등 총 4단계로 구분되는데, 아직 ‘주의’나 ‘불쾌’ 단계에는 못미치고 있는 것이다. 7월 중순에는 주의나 불쾌 수준을 보이는 게 일반적이다.

모기활동지수도 ‘100’인 경우 밤에 야외에서 10분가량 서 있으면 모기에 5번 이상 물릴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주간 모기활동지수는 41.7에 불과하다.

특히 7월 중순 이후 모기활동지수는 지난 21일 65.3으로 살짝 올랐다가 22일 23.1로 크게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올해의 경우 6월 초부터 무더위가 시작돼 7월 초 35도를 넘나든 역대급 폭염이 이어지면서 모기 개체수가 급감했다고 보고 있다.

통상 모기는 기온이 15~30도일 때 활발히 활동하는데, 40도에 육박하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맥을 못 추고 있다는 것이다.

폭염으로 물이 말라 모기가 알을 낳을 곳이 사라졌다는 점도 영향을 줬다. 여기에 집중호우로 모기가 알을 낳기가 더 어려운 환경이 조성됐다.

하지만 가을 모기가 극성을 부릴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폭염·폭우가 번갈아 발생했던 지난해에도 여름 모기 대신 가을 모기가 기승을 부렸었다. 지난해의 경우 6월 정점을 찍었던 모기 활동은 폭염과 폭우가 심했던 7월과 8월엔 줄었다가 기온이 다소 내려간 9월 말부터 증가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