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잇따른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발생한 SPC 현장을 방문해 “월급 300만원 받는 노동자 목숨값이 300만원은 아니다”라며 노동 현장 안전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25일 경기 시흥의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열린 ‘중대 산업재해 발생 사업장 현장 간담회’에서 “똑같은 현장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똑같은 사고가 반복되는 건 문제가 있다”며 연이은 SPC 계열사 산재 사고를 지적했다.
이 공장에서는 지난 5월 50대 근로자가 크림빵 생산설비의 컨베이어에 윤활유를 뿌리는 일을 하다가 기계에 끼여 사망했다. 앞서 2023년 8월에는 계열사인 샤니 성남공장에서 50대 여성 근로자가 기계에 끼어 숨졌다. 2022년 10월 계열사인 SPC 평택 제빵공장에서는 20대 여성 근로자가 소스 교반기에 끼어 사망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의 지적에 김범수 SPC삼립 대표이사는 “심려를 끼쳐 대단히 죄송하다. 분골쇄신해 안전한 사업장이 되도록 하겠다”며 안전 경영 거버넌스 강화, 야간 근로 축소 등의 안전 개선 방안을 내놨다.
유년 시절 공장에서 일한 ‘소년공’ 출신의 이 대통령은 공장 근무 체계 등 구체적 질문도 이어갔다. 주4일 오전·오후 7시30분에 맞교대하는 방식으로 3조 2교대 근무 중이라는 설명에 이 대통령은 “노동 강도가 너무 세서 밤에는 졸릴 것 같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근 SPC에서 발생한 3건의 사망 사고가 모두 새벽에 발생한 점을 꼬집었다. 이 대통령은 “똑같은 상황이 반복된다. 일주일에 나흘을 밤 7시부터 새벽 7시까지 풀로 12시간씩 일한다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산재 사고는) 심야 장시간 노동 때문에 생긴 일로 보인다”며 “장시간 저임금 노동에서 언젠가는 벗어나기 위해 모두가 노력하자”고 했다. 그러면서 “돈보다 생명을 귀히 여기고, 안전을 위해선 비용도 충분히 감수하는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고용노동부에는 “생산 현장 안전 설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일상적으로 잘 관리하고, 300명의 근로감독관 조직을 통해 '특공대'다 생각하고 불시에, 예상 못 할 곳을 실시간 점검해달라”고 지시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