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조 해체시장’ 첫발, 부산기업에 문 열렸다

입력 2025-07-24 14:30
6월 26일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위치한 고리1호기(오른쪽 첫 번째) 모습. 고리1호기는 1978년 4월 29일 상업 운전을 시작한 우리나라 최초 원자력발전소다. 연합뉴스

부산시가 본격화하는 국내 원전 해체 시장에 지역 기업이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공동도급과 하도급 조건에 ‘지역업체 참여’를 명문화하는 데 성공했다. 시는 이번 조치를 통해 향후 세계 원전 해체 시장 진출의 기반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부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수력원자력이 최근 발주한 ‘고리1호기 비 관리구역 내부 및 야드(Yard) 해체 공사’ 본 공고에 부산 지역 기업의 공동도급 및 하도급 참여 조건을 반영했다고 24일 밝혔다.

공고에 따르면 공동수급체 구성 시 부산 지역 업체를 반드시 포함해야 하며 이들 지역업체의 출자 비율은 30% 이상이어야 한다. 지역업체에 대해서는 실적 요건이 면제된다. 하도급에서도 기장군에 있는 업체가 30% 이상 참여하지 않으면 감점되는 방식으로 지역 기업 참여가 실질적으로 보장된다. 시는 수차례 현장 방문과 간담회, 협의를 통해 이 같은 입찰 조건 반영을 끌어냈다고 설명했다.

시는 고리1호기 해체 공사를 지역 기업의 실적 확보 기회로 삼고, 이후 예정된 월성1호기 등 후속 해체 사업은 물론 550조원 규모로 추산되는 세계 해체 시장 진출의 디딤돌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원자력 산업 기반 조성도 병행된다. 시는 지난해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 1단계 시설을 완공한 데 이어 올해는 ‘원자력산업 육성 계획’ 수립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이와 함께 소형모듈원자로(SMR) 보조기기 제작지원센터 구축, 지역대학과 연계한 에너지기술 공유대학 운영 등을 통해 해체 산업 생태계를 조성 중이다.

입찰 설명회는 25일 오전 10시 고리1발전소 발전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리며, 입찰 마감은 다음 달 28일이다.

김기환 시 시민안전실장은 “이번 본 공고는 지역 원전 기업들이 실적을 확보해 국내 시장은 물론 해외 진출까지 내다볼 중요한 기회”라며 “기업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