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통령실, ‘보이스피싱·마약과의 전쟁’ 준비 돌입

입력 2025-07-24 11:08 수정 2025-07-24 11:18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와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이 보이스피싱과 마약 등을 조준한 ‘민생 범죄와의 전쟁’을 준비하고 있다. 국민의 생명·재산을 지킬 대책을 마련하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봉욱 민정수석이 관련 범죄 현황을 파악해 보고하는 등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24일 대통령실과 정부 등에 따르면 봉 수석은 보이스피싱, 마약, 자살 등 범죄 현황을 파악해 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한 차례 보고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수석실은 이후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한다.

민생범죄와의 전쟁은 이 대통령 지시에 따른 조치다. 이 대통령은 최근 대수보 회의 등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참모들과 정부 당국자들에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이 대통령이 보이스피싱 급증, 마약 범죄, 전세사기 등 민생범죄에 관심이 많다”며 “각종 회의에서 대책 마련을 당부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지목한 주요 범죄는 최근 서민 피해의 핵심 요인으로 떠올라 대책 마련의 시급성이 제기돼 왔다. 다만 여기에는 최근 불거진 인사 문제 등 부정적 이슈를 조기 차단하고 60%대 지지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목적도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사회의 음지를 소탕하는 민생 범죄 중점 단속은 과거 정부에서도 지지율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활용돼 왔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집권 이후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해 조직폭력배를 소탕, 군사정권 출신 대통령이란 비판 여론을 잠재우려 시도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하나회 숙청으로 국정 수행 지지도를 높였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도 ‘지하경제 양성화’를 천명한 바 있다.

여권 관계자는 “어느 정도 대책이 마련된 이후엔 ‘보이스피싱과의 전쟁’ 등 네이밍으로 본격 치고 나갈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다른 민생 문제 해결도 각별히 당부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전날 김혜경 여사와 함께 새로 임명된 국무위원들과 차담하는 자리에서 산업재해·자살사고 등에 대해 “우리 사회에는 왜 이렇게 죽는 사람이 많으냐. 사망률을 줄여야 한다”며 관심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이 대통령이 ‘사람들이 먹고살려고 직장에 갔는데 죽음의 현장이 돼서야 되겠느냐. 너무 안타깝다’고 수차례 언급했다”며 “소년공 출신으로 어려운 성장 과정을 겪어 민생 문제에 더 공감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