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 민원 때문에 골칫거리가 된 대구염색산업단지의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새 정부 대선 공약사업인 만큼 대구시가 추진하는 이전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기대도 생겨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대구시당은 24일 대구염색산단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대구염색산단 이전을 대구 핵심공약으로 제시했고 김성환 환경부 장관 역시 후보자 시절 문제 해결을 약속한 바 있다”며 “민주당 대구시당은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대구악취방지시민연대, 대구지방환경청, 대구시, 서구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염색산단 악취 민원은 해묵은 난제다. 시에 따르면 1980년 설립 인가를 받은 대구염색산단(127개 섬유·염색업체 입주)은 한때 지역 산업을 이끄는 중요한 시설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관련 산업이 침체되고 악취 문제가 부각되면서 지역의 골칫거리로 전락했다는 평가다.
2020년 한국환경공단의 악취실태조사에서 대구염색산단 악취가 주거지역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됐고 2020~2023년 대구 서구에서 실시한 대구염색산단 사업장 악취검사에서도 매년 사업장의 8~15% 정도가 악취배출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대구염색산단 인근 도심 개발이 이뤄진 후에는 신규 입주 아파트 주민들을 중심으로 악취 민원이 크게 늘었다.
이에 시는 서대구역세권 개발 등에 맞춰 대기개선 시책을 추진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87% 정도를 줄이는 성과를 거뒀고 대구염색산단을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시설 이전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올해 초 폐수 유출이 잇따라 발견돼 대구염색산단을 바라보는 시선이 다시 싸늘해졌다.
시는 대구염색산단을 2030년 군위군으로 이전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용역을 통해 지난해 8월 이전에 타당성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전지는 대구경북신공항 사업과 연계해 들어설 예정인 군위 제1첨단산업단지다. 시는 대구염색산단 이전 사업을 국정과제에 포함시켜달라고 요청했다. 신공항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수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을 시 자체 역량만으로 추진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대구염색산단 내에서는 시간·비용 등의 문제로 이전에 어려움이 있다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자체 조사에서 입주 기업의 79%가 이전에 반대한다는 결과도 나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