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 실종자 수색 4일째 계속…김포대교까지 범위 확대

입력 2025-07-23 09:39
소방 대원들이 지난 22일 경기 가평군 조종면 행정복지센터 인근에서 내부에 토사가 가득 찬 차량을 수색하고 있다.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 제공

최근 폭우 피해로 경기 가평군에서 실종된 4명을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대대적으로 확대됐다.

당국은 23일 인력과 장비를 증강하고 수색 범위를 팔당댐에서 김포대교까지 넓히는 등 실종자 수색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수색에는 경찰, 소방 등 총 883명의 인력과 구조견 7마리, 드론 20기, 헬기 2대, 보트 13대 등의 장비가 동원됐다.

경찰과 소방은 실종자가 발생한 마일리 일대에서 하류 신청평대교, 북한강, 김포대교까지 걸쳐 드론과 헬기, 도보 인원을 활용해 실종자 4명을 찾고 있다.

수상 수색의 경우 보트가 집중 투입되고, 서울수상구조대도 수색에 참여한다. 조종면·상면 일대 각 다리(이문안교, 신하교, 대보교)에서는 굴삭기로 다리 밑 적치물을 제거하며 실종자 찾기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은 급류와 도로·하천 구분이 어려운 상황으로 수색의 난항이 이어지고 있다.

실종자는 마일리 캠핑장을 찾았다가 실종된 일가족 중 아직 발견되지 않은 2명, 대보교 인근 낚시터에서 물에 휩쓸려 실종된 1명, 덕현리 강변에서 급류에 휩쓸린 것으로 추정되는 1명 등 총 4명이다.

앞서 지난 22일 정부는 가평군을 포함해 충남 서산·예산, 전남 담양, 경남 산청·합천 등 6곳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복구비의 최대 80%가 국비로 지원되고, 피해 주민에게는 국세·지방세 납부유예, 공공요금 감면 등 각종 혜택이 돌아간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특별재난지역 지정에서 빠진 포천시의 추가 지정을 요청하며, 지정이 이뤄지지 않더라도 경기도 차원에서 ‘특별지원구역’을 통해 복구비의 50%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집중호우로 인한 가평 지역 피해액은 임시 집계로 342억원, 사망자는 3명, 이재민은 66명에 이르며, 주택 붕괴와 도로 유실, 산사태 등 대규모 피해가 발생했다.

가평=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