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을 맹비난하며 제프리 엡스타인 파문 진화에 나섰다. 과거 트럼프 대통령을 곤경에 빠뜨렸던 ‘러시아 게이트’가 오바마 전 대통령이 꾸민 일이라고 주장하며 논점을 회피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필리핀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엡스타인 관련 질문이 나오자 갑자기 “갱단의 두목은 오바마 (전) 대통령”이라며 “그는 유죄이며 이것은 반역죄”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오바마가 쿠데타를 주도했다”며 “힐러리 클린턴과 함께 했다”고도 했다.
트럼프의 발언은 2016년 대선 당시 자신의 선거 캠프가 러시아의 미 대선 개입을 유도했다는 ‘러시아 게이트’ 의혹을 오바마가 꾸민 일이라는 주장이다. 트럼프는 “이제 시작할 때다. 그들을 뒤쫓아야 할 때”라며 오바마 등에 대한 수사도 촉구했다.
트럼프는 엡스타인 관련 질문에 대해 “일종의 마녀사냥”이라며 “당신들(기자)이 해야 할 마녀 사냥은 오바마가 잡힌 것”이라고 했다. 이는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이 지난 18일 오바마 행정부 인사들이 러시아가 미 대선에 개입한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정보를 조작했다면서 관련 자료를 공개한 것을 언급한 것이다. 트럼프는 지난 21일 오바마가 연방 요원들에게 체포되는 장면이 담긴 가짜 동영상을 트루스소셜 계정에 게시하기도 했다.
오바마의 대변인 패트릭 로든부시는 “이 기괴한 주장들은 터무니 없고, 관심을 다른 데로 돌리려는 허약한 시도”라며 “지난주 공개된 문서에는 러시아가 2016년 대선에 영향을 미치려 했으나 실제로 투표를 조작하는 데 성공하지는 못했다는 널리 받아들여진 결론을 뒤집을 만한 내용이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뉴욕타임스는 “마르코스 대통령과의 회담 중 나온 트럼프 대통령의 장황한 탈선 발언은 점점 늘어나는 적대자 명단에 대한 그의 보복 캠페인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며 “미국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것”이라고 논평했다.
트럼프 집권 1기 당시 연방 상원의 초당적 위원회와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2016년 미국 대선에서 러시아가 미국 유권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위해 대규모 공작을 벌였다고 결론지었다. 다만 2019년 로버트 뮬러 특별검사는 트럼프 본인이나 캠프가 러시아와 공모하진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
트럼프가 갑자기 오바마를 공격하고 나선 것은 미성년자 성매매 혐의로 수감 중 2019년 자살한 엡스타인 사건 처리와 관련해 의혹이 확산하자 일종의 ‘물타기’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는 과거 엡스타인에게 외설적인 그림을 그린 편지를 보냈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가 나온 뒤, WSJ에 거액의 소송을 걸고 WSJ 기자를 해외 동행 취재단에서 배제하기도 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