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정부조직 개편 방향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가 현재대로 있는 안은 없다”고 못 박았다.
김 장관은 22일 취재진과 만나 “국정기획위원회에서 두 가지 안으로 정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환경부에 산업부 에너지차관실을 붙여서 가칭 기후환경에너지부로 바꾸는 안과 환경부 기후 파트와 산업부 에너지차관실을 합해 기후에너지부를 별도 신설하는 두 가지 안을 두고 대통령실과 협의 중”이라고 했다.
산업부에 에너지 기능을 남기는 선택지는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김정관 신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인사청문회에서 “산업과 에너지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며 이에 관해 사실상 반대 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김 환경장관은 “신임 산업부장관 입장에서 기존 직원들의 정서 등을 고려해 그렇게 말할 수 있으나 대통령 공약이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정부 조직 개편 관련) 정부 방침을 확정해달라고 요청할 예정이다. 그래야 정부 내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환경부 직원들의 솔선수범도 강조했다. 김 장관은 “2030년까지 신차의 30%를 전기차로 보급하는 계획을 세웠는데 현재 3% 수준”이라며 “확인해보니 환경부 공무원들의 전기차 비율도 일반 국민 수준을 못 넘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말의 향연”이라며 “기후를 총괄하고 지속가능성을 챙기는 환경부는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기후위기의 급박함도 강조했다. 그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도 이내로 막기 어려워 보인다”면서 “2050년 탄소중립이라는 목표도 너무 느슨하다”고 말했다.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도보다 낮게 유지하는 것은 국제사회가 파리협정을 통해 설정한 마지노선이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취임사에선 “탈탄소 녹색문명 중심 국가로 도약하는 데 환경부가 선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규제부처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미래세대가 지속 가능한 삶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탈탄소 녹색문명을 선도하는 부처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