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45년 지속” 부산시, 수목 기반 탄소중립 모델 만든다

입력 2025-07-22 10:03

부산시가 수목을 활용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는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녹지 공간을 온실가스 감축 자산으로 전환해 배출권거래제에 대응하고 ESG 기반의 기업 유치 환경을 조성한다는 복합 전략이다. 특히 5년 단위 배출권 산정을 통해 최대 45년간 지속 가능한 구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지자체 탄소중립 정책 중 선도 모델로 평가받는다.

부산시는 2040년까지 산림, 공원, 녹지, 공동주택 부지 등 총 300헥타르(㏊) 규모의 수목 식재지를 기반으로 약 1500t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이를 위해 올해 말까지 사업계획서를 수립하고, 내년 3월까지 환경부 외부 사업 등록을 완료할 예정이다. 등록이 마무리되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탄소배출권 산정과 인증 절차에 돌입한다.

이번 사업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 이후 조성된 식재지 중 법적 의무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부지를 대상으로 한다. 해운대수목원 내 식생 복원지(20㏊)와 운봉산 산불피해지(27㏊)가 첫 사업지로 선정됐으며, 현재 증빙자료 보완과 현장점검이 진행 중이다. 시는 우선 대규모 식재지를 중심으로 사업을 시작한 뒤 공동주택 조경지 등 소규모 부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탄소배출권은 5년 단위로 산정되며 2040년 이후에는 최대 두 차례(각 15년) 연장이 가능해 최장 45년간 유지될 수 있는 구조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도시 차원의 기후 위기 대응 역량을 강화함과 동시에 친환경 도시 이미지를 제고하고 기업 유치 여건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배출권거래제 적용 대상 기업의 감축 부담을 줄이는 실질적 수단으로도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시는 지난달 산림청이 주관한 외부 사업 등록 지원 공모에 선정돼 약 5500만원의 컨설팅 비용을 절감하는 성과를 거뒀다. 제도적 기반 확보뿐 아니라 예산 효율 측면에서도 효과를 입증한 셈이다.

안철수 시 푸른도시국장은 “수목 식재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탄소중립 실천 모델”이라며 “배출권 확보를 선도하는 녹색도시로 부산이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