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통해 공개된 드론사 행적…“北 공짜로 극비 정보 얻어” 우려

입력 2025-07-20 15:52 수정 2025-07-20 17:32

드론작전사령부 예하 부대와 활동 기록 등 군사 작전 정보가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 수사 과정에서 연일 노출되고 있다. ‘북풍 몰이’ 의혹의 실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군사 기밀로 발전할 수 있는 정보도 필요 이상으로 공개되면서 국가안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평양 무인기 침투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내란 특검팀은 무인기 투입 작전을 실행한 드론사 예하 4개 대대 관계자들을 최근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 이 과정에서 백령도, 경기 김포·연천, 강원 속초에 있는 드론사 예하 부대의 존재와 위치 등이 언론과 여권 관계자 입을 통해 공개됐다.

군 내부에서는 무인기 투입과 관련한 새로운 사실을 연일 공개하고 있는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등 여권을 향해 자제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4성 장군 출신인 김 최고위원은 무인기의 작전 내용과 활동 일지, 군 내부 제보 등을 근거로 드론사가 북풍 몰이에 가담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정보부대 관계자는 20일 “북한이 투입한 무인기의 경로, 출발 지점, 목적 등을 알아내기 위해 수많은 비용과 인적 자원을 투입해왔다”며 “그런데 북한은 언론 스크린을 통해 앉아서 공짜로 우리의 군사 작전 정보를 획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드론사의 예하 부대 시설과 투입 경로 등이 노출된 건 매우 치명적”이라며 “보안 등급이 낮은 정보로 여겨질 수 있지만, 이 같은 기초 자료를 단서 삼아 향후 우리의 작전 계획을 유추할 수 있다”고 했다.

김 최고위원은 최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드론사 여러 간부의 제보”라며 “‘평양 15호 관저’ 일대와 상공을 목표 좌표로 입력한 무인기를 각각 2대, 4대씩 보냈다”고 공개했다. 구체적인 목표 지점과 규모까지 언급한 것이다.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은 “실질적으로 운항한 좌표 등 세밀한 정보까지 공개한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드론사의 향후 작전 활동에 큰 제약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