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순찰대가 주민들 살렸다”…폭우에 산불피해 지역 ‘무사’

입력 2025-07-20 08:54 수정 2025-07-20 09:33
마을순찰대가 주민을 대피시키는 모습. 경북도 제공


최근 나흘간 쏟아진 집중호우에도 지난 3월 초대형 산불 피해가 발생했던 경북지역에서는 별다른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경북도에 따르면 최근 쏟아진 폭우에도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지난 3월 초대형 산불 피해 지역에서는 산사태나 침수 등 우려했던 피해가 접수되지 않았다.

경북도와 각 시군은 산불로 약해진 지반 탓에 집중호우로 인한 토사 유출이나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예의주시해왔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2차 장마가 본격화하자 지난 16일과 18일 ‘과잉 대응 원칙’을 특별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와 시·군 공무원 등 관계자 3178명이 비상근무에 돌입해 호우특보 해제(지난 19일 오후 9시) 시점까지 최고 수준 대응 체계를 유지했다.

특히 22개 시·군(3445개 마을)에서는 마을순찰대 5696명(대원 4167명·공무원 1529명)이 전면 가동돼 큰 역할을 했다.

지난 16일부터 마을을 돌며 취약계층 주민들의 안전을 확인한 이들은 17일부터 19일까지 본격적으로 취약지역 주민들을 사전 대피시켜 인명피해를 막았다.

지역별로는 포항(96명), 경주(18명), 영주(42명), 상주(21명), 경산(30명), 영양(2명), 청도(174명), 고령(145명), 성주(16명), 칠곡(3명) 등 10개 시·군에서 395가구 547명이 대피했다.

이들이 대피한 곳은 경로당, 마을회관, 문화센터, 모텔 등 81곳이며 대피한 주민에게는 구호 물품과 모포 담요, 급식, 생필품, 식음료 등이 제공됐다.

대피 이후에도 영주·문경·예천·봉화 등 산사태 경험이 있는 16개 마을에서는 지속적인 안전 확인과 상황 관리가 이뤄졌다.

마을순찰대는 각 읍·면 단위로 편성돼 마을 단위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점검하고 있으며 지자체는 취약계층과 거동이 불편한 주민을 먼저 파악해 대피를 돕고 있다.

또 응급 복구 장비와 인력을 사전에 배치해 추가 피해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2차 장마가 본격화하자 지난 16일과 18일 ‘과잉 대응 원칙’을 특별 지시한 이철우 경북지사. 경북도 제공


산불 피해지역 임시 조립주택 95곳에서도 상황 점검이 이뤄졌다.

경북지역 호우 특보 해제 시점까지 활동한 것으로 보고된 마을순찰대원은 모두 2055명(대원 1636명, 공무원 419명)이다.

이들이 지켜낸 마을은 경주 86곳, 안동, 314곳, 구미 154곳, 상주 405곳, 의성 40곳, 청도 146곳, 성주 233곳이다.

박성수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은 “전체 22개 시·군에서 인명을 지키기 위해 모두 비상 근무했다”며 “특히 기상 상황이 악화할 것을 우려해 전 시군을 대상으로 ‘마어서대피’ 긴급 대응체제를 가동하고 주민 대피 준비에 나섰다”고 말했다.

도는 지난해 5월부터 도내 5189개 마을에 지역 공무원과 주민이 마을을 지키고 위험시 대피하는 마을순찰대를 구성했으며 경북형 대피시스템인 ‘마어서대피’ 프로젝트도 가동 중이다.

‘마어서대피’ 프로젝트는 ‘마을순찰대와 함께 어두워지기 전에 서둘러 안전한 대피소로’라는 의미다.

경북에서는 이번 장마 기간 고령군과 의성군에서 고립된 주민 3명이 구조됐고 청도와 고령에서는 저수지 제방과 도로가 유실됐다.

안동에서는 쓰러진 나무로 정전이 발생했으나 긴급 복구가 완료됐으며, 경주에서는 유실된 배수관로가 임시 복구됐다.

포항, 경주, 영천, 청도, 고령, 성주 등 6개 시·군 농작물과 농경지 40.6㏊가 침수됐고 포항·경주·경산 등 3개 시·군에서는 일부 도로가 낙석과 침수 우려로 통제됐다.

이 지사는 “재난 상황에서 공무원 본연 역할은 첫째도 둘째도 주민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라며 “다행히 비는 그쳤지만, 여전히 위기관리는 지속돼야 하며 취약 지역에 대한 점검을 계속하고 예찰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