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폐수로 서해가 오염되고 있다는 우려에 관해 합동특별실태조사 결과 이상이 없다고 밝혔다.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해양수산부, 환경부는 4일 북한 평산 우라늄 공장 인근의 예성강 하구와 가장 가까운 강화도, 한강하구 등 총 10개 정점에서 시료 채취 후 우라늄 등 방사성핵종 2종과 중금속 5종을 분석한 결과를 18일 합동 발표했다.
분석 결과 예성강 하류 강화와 김포 지역 6개 정점에서 채취한 우라늄 농도는 모두 ‘이상 없음’으로 나타났다. 앞서 정부는 2019년에도 같은 정점에서 우라늄 농도를 검사했는데, 그때보다 농도가 낮거나 유사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과 달리 추가로 진행한 한강, 임진강 하구 2개, 인천 연안의 2개 정점에 대한 우라늄 농도도 이상이 없었다.
방사성 세슘도 이상이 없다고 분석됐다. 모든 지역에서의 방사성 세슘이 최소검출가능농도(MDA) 미만이거나 최근 5년간 서해에서 측정한 수준보다 낮게 확인됐다. 중금속 5종 역시 모두 기준 미만이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정부는 당분간 7개 주요 정점에 대한 월례 정기 감시 시스템을 유지할 방침이다. 또 관계부처 협의체를 지속해서 운영할 계획이다.
정부는 다만 북한의 폐수 방류 사실은 공식적으로 확인해주지 않았다. 앞서 북한 전문매체 데일리NK는 북한 평산 우라늄 공장에서 방사능 오염 폐수가 예성강을 따라 서해에 유입됐다는 위성 이미지 분석 전문가의 주장을 보도했다.
장윤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조사는 국내 환경오염 여부를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조사한 사안”이라며 “평산 우라늄 시설의 방류 여부에 관해서는 확인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