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하반기 첫 경제동향에서도 대내외 리스크로 인한 경기 하방 압력이 지속되고 있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다만 개선 조짐을 보이는 소비 심리에 대해서는 기대감도 드러냈다.
기획재정부는 18일 발표한 ‘경제동향 7월호’에서 “최근 한국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 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된 가운데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둔화 우려로 경기 하방 압력이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내수·고용 부진과 관세 협상 등 국내외 악조건으로 인한 ‘경기 하방 압력’은 이미 지난달에도 등장했던 평가다. 지난 5월 전산업생산은 광공업(-2.9%)·건설업(-3.9%) 등이 감소세를 보이면서 전월 대비 1.1%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종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4.7% 뒷걸음질쳤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8만3000명 증가했지만 청년·제조업 등 취약 분야의 어려움이 계속됐다.
수출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지표상 선전을 이어갔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4.3% 증가했다. 지난 1~10일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9.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8월 1일부터 본격적인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를 거듭 예고하는 등 불확실성은 여전한 상태다.
다만 이번 경제동향에는 종전보다 낙관적인 기대도 일부 담겼다. 정부는 지난달 평가에 들어갔던 “경기 하방 압력 증가” 문구에서 ‘증가’ 두 글자를 지웠다. 내수 회복에 대한 ‘긍정적 요인’도 꼽았다. 소비 심리 지수가 개선 조짐을 보이는 데다 조만간 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도 내수 회복에 일조할 것이라는 취지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8.7로 직전 5월(101.8)보다 6.9포인트 올랐다.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도 1년 전보다 28.8% 증가했다. 오는 21일부터는 전국민에게 15만~55만원씩 총 31조8000억원 규모의 소비 쿠폰이 지급된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내수 활성화의 계기가 되도록 범정부 역량을 집중하겠다”면서 “미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 지원 등 통상리스크 대응에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