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당대표에 도전장을 낸 박찬대 의원이 최근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불거진 일부 장관 후보자의 적격성 논란에 대해 “비판적 시각도 있고 과도한 정치 공세라는 의견도 있다”며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는 결국 인사권자 재량”이라고 밝혔다. 전날 이재명 대통령이 추진을 당부한 개헌과 관련해선 내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를 실시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박 의원은 18일 MBC라디오에 출연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관련 질의에 “제일 중요한 것은 국민의 눈높이”라며 “조금 신중한 결론이 요구되는 것 같다”고 답했다. 청문회를 전후해 강 후보자는 ‘보좌진 갑질’ 논란, 이 후보자는 ‘논문 표절’ 의혹 등에 각각 휩싸였다.
민심에 대해선 “갈리는 부분이 일부 있는 것 같다”며 판단을 유보했다. 박 의원은 “정치를 하면서 가장 어려운 것은 결단을 내리는 그 순간이 아니라, 그 결단의 기초가 되는 국민의 눈높이와 요구가 무엇인지 정확히 분별하는 것”이라며 “두 의견의 비중을 저울질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사권자와 후보자 본인의 생각 등이 아마 이번 주말 사이 모이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당권 경쟁자인 정청래 의원은 앞서 강 후보자를 응원하는 메시지를 냈다. 정 의원은 지난 15일 페이스북 올린 글에서 “여성가족부 강선우 곧 장관님, 힘내라”며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였고 훌륭한 국회의원이었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저도 개인적으로는 강 의원에 대한 지지는 있다. (다만) 우리는 국민을 대신해 일하는 사람 아닌가”라며 “아직은 숙고가 필요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개헌 관련 질문엔 “국민의 뜻을 충분히 받아들여 여야가 합의해 결정하는 게 좋겠지만, 만약 숙려 시간이 필요하다면 여야 간에 합의할 수 있는 내용부터라도 빨리 개헌해나가는 실용적 접근법을 동시에 얘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협의를 거쳐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사안으론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대선 결선제 도입 등을 거론했다.
개헌 국민투표 시점으론 내년을 언급했다. 박 의원은 “빨리 합의가 이뤄지는 부분부터 처리한다고 하면 내년 지방선거도 가능하겠다”고 말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