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정부의 민생회복 기조에 발맞춰 지역에 민생회복 자금 1조원 이상을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지원을 집중해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높이는 전략이다.
시는 17일 기자설명회를 열고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계획이 포함된 지역 민생회복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시는 지난 5일 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계획이 확정된 후 시 소비쿠폰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세부 지급계획을 마련했다. 계획을 세우면서 지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역화폐 지원책까지 추가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내수부진으로 침체를 겪고 있는 민생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경제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이다. 대구에는 6841억원 정도(전국 13조9000억원)가 공급될 예정이다. 신용·체크카드와 지역화폐인 대구사랑상품권(대구로페이)으로 지급받을 수 있다.
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공급과 지역화폐를 결합해 지역 소비심리 촉진 효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8월 1일부터 2800억원 규모의 대구로페이 1차 할인 충전을 재개(민생회복 소비쿠폰과 별개)할 예정이다. 연내 추가로 2차 할인 충전도 진행해 지역에 민생회복 자금(소비쿠폰+지역화폐)이 1조원 이상 공급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민생회복 지원 집중으로 영세한 지역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물가상승 불안을 진정시키기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기간 중 대규모 할인행사 등 시 차원의 민생경제 대책을 추가로 마련해 시행할 예정이다. 또 외식업계, 소상공인연합회와 간담회 등을 통해 인위적인 가격 상승이 발생하지 않도록 당부할 계획이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경우 전 국민이 지급 대상이지만 차상위계층과 한부모가족, 기초생활수급자 등은 지급 금액이 달라진다. 이에 시는 혼선을 방지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군, 행정복지센터와 함께 협조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또 신청·지급체계 전반을 철저히 점검해 지급에 차질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시는 28일부터 고령자와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주민들을 위해 담당 직원이 방문해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서를 접수하고 소비쿠폰을 지급하는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도 운영할 예정이다. 거동이 불편한 주민은 행정복지센터에 전화 상담을 통해 요청할 수 있다. 단 함께 거주하는 가구원이 있을 경우 신청이 제한될 수 있다.
대구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TF 단장인 홍성주 경제부시장은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대구로페이를 통해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기를 기대한다”며 “시민들이 신청 단계부터 지급, 사용까지 불편함이 없도록 만반의 준비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