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카피킬러 신뢰할 수 없어…논문 표절 아니다”

입력 2025-07-16 13:45 수정 2025-07-16 13:59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자신을 둘러싼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모든 전문가가 지적하듯 카피킬러 자체를 신뢰할 수 없다.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들은 학계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고 16일 반박했다. 자녀 불법 유학에 대해선 “실수였다”고 해명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해 “2007년도부터 (충남대) 총장에 임용되기 전까지 약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가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했고,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이라고 판정받았다”고 밝혔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눈을 감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 “여러 언론이 지적한 2007년 이전 논문들을 저도 한번 카피킬러로 돌려봤다. 어떻게 저런 표절률이 나올 수 있는지 돌려봤는데 10%를 겨우 넘었다”고 덧붙였다.

그러고는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간다”며 “그래서 전문가가 하나씩 다 제외해가면서 정확히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이 후보자는 “가장 많이 지적되는 게 부당한 저자 표시다. 제1저자로 쓰면서 제자 논문을 가로챘다는 것”이라며 “논문을 작성할 때 이공계에서는 공동 연구자들끼리 논문 작성 기여도를 따지고 이에 따라 제1저자를 결정한다”고 말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이공계의 경우 대학원생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주해 온 국가 과제나 연구 과제로 수행된다”며 “그것을 학생은 세부 과제로 진행하고 발전시켜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는 게 일반적 (논문) 발표 순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래서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행하는 연구 과제 일부분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지도 교수와 대학원생 간 기여도를 고려해 제1저자를 결정해야 한다는 게 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 강조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녀 조기 유학 등 논란과 관련해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후보자는 “제 경우 제자와 같이 공동으로 연구한 논문에서 제1저자로 오른 경우는 전체의 30% 정도”라며 “나머지 70%는 제자와 공동 연구 혹은 참여 연구 형태로 진행했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큰 실수가 있었다면 세세한 것, 이를테면 윤리위 기준에 속하지 않는 오탈자 등이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본인이 주 저자라면 제자 학위는 무효가 되는 것 아니냐’며 묻는 말에 “충남대에서는 이공계의 경우 교수와 학생이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해야 학위(논문)를 낼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고 답했다

이어 “그래서 제자와 교수가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은 필수”라고 부연했다.

자녀들을 미국으로 유학 보낸 경위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영호 위원장에게 선서문을 제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후보자는 “2001년부터 1년간 미국으로 방문 연구원을 간 게 계기가 돼 아이들이 미국에서 공부하고 싶다는 뜻을 강력하게 희망해 유학을 보내게 됐다”며 “둘째 아이는 언니가 갔으니 따라간 경우”라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는 둘째 딸의 의무교육 관련 법령 위반 의혹을 두고 “그때는 불법인지조차 알지 못했다”며 “(불법을) 인지하지 못했더라도 저의 큰 실수였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 차녀 A씨는 중학교 3학년이던 2007년 조기 유학했다.

현행 초·중등교육법 하위 법령인 ‘국외 유학에 관한 규정’을 보면 국민은 자녀 혹은 보호하는 아동이 중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다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후보자는 A씨가 결혼을 했음에도 국민건강보험 피보험자로 돼 있었던 것과 관련해 "건강보험 문제 역시 인지를 못 했다. 단순한 실수였다”고 해명했다.

이 후보자는 “이미 아이는 미국에서 건강보험을 다 갖고 있었다. 이번 청문회 준비 과정에서 (잘못된 것을) 알고 지역가입자로 빨리 바꿨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도 이런 실수가 있었던 점에 대해서는 국민께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며 자리에서 일어나 고개를 숙였다.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이 16일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질의하고 있다.

이 후보자는 ‘이재명정부 성공을 위해 대통령이 지명을 철회하기 전 사퇴할 의사가 있느냐’는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 질문에는 답변하지 않았다.

다만 이 후보자는 “제 주변부터 말씀드리면 몇 분이 반대했지만 22대 충남대 총동창회를 비롯해 전국 국공립대학총장협의회 그리고 실제 다수의 교수 집단이 지지 성명을 냈다”며 “저와 같이했던 총동창회 회장, 학생들이 모두 (의혹들이) 사실이 아니라고 지지 성명을 낸 바가 있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