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을 “사회주의자도 北 정권 수립 직접 참여 아니면 수훈해야”

입력 2025-07-15 22:57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사회주의 계열에 계셨던 분들이 유공에서 많이 제외돼 있는데 북한 정권 수립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으면 당연히 수훈하고 경제적 보상을 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권 후보자는 “시대에 맞게 모든 독립유공자 자손이 혜택을 보도록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 후보자는 역사 왜곡 논란 속 지난해 취임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에 대해 “장관에 취임하게 되면 일단 만나보겠다”며 “(임명 과정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또 “정무직은 임명권자가 바뀌면 재신임 절차를 모두 다 거쳐야 한다는 게 평소 생각”이라며 “아직 입법이 안 됐지만 그런 방향으로 해야 ‘알박기’ 등 시비가 없어지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김 관장의 해임 건의에 대한 질의에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문제가) 맞다면 장관으로서 할 수 있는 조치를 하지만, 조금은 신중하게 진행해야 맞지 않겠냐”고 답했다. 김 관장은 지난해 8월 취임했다. “1945년 8월 15일은 광복절이 아니다”, “1948년 이전엔 우리 국민은 없고 일본 국민만 있었다” 등 발언에 광복회로부터 ‘1948년 건국론을 주장하는 뉴라이트 인사’라는 비판을 받는다.

‘북한이 우리 주적이냐’는 질문에 권 후보자는 “지금 이 시점에서 주적이라고 표현하기에는 참 애매한 점이 있다”며 “남북 평화체제로 나가야 할 이 시점에 굳이 20∼30년 전 용어를 다시 쓸 필요가 있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북한이 무력을 쓰면 즉시 응징하되, 우리에 대해 험한 말을 한다고 해서 맞대응하고 말로써 긴장을 고조시키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에 야당의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자 “부적절한 표현에 대해 사과한다”고 고개를 숙이기도 했다.

권 후보자는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유죄 판결을 받으며 반환 의무가 생긴 경북지사 선거비를 미납했다는 지적에 대해 “선거 부채로 굉장히 힘들었을 때였다. 직접 확인하지 못한 불찰”이라고 사과하며 재심 신청 계획을 밝혔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