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15일 국회 국방위원회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안 후보자 군 복무 경력을 두고 거세게 충돌했다.
국민의힘은 창군 이래 첫 ‘방위병 출신’ 국방부 장관 후보자임에 우려를 표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국방장관으로서 갖춰야 할 필요충분조건을 갖춘 A+급 장관 후보자”라며 맞섰다.
포문은 국민의힘이 열었다.
강선영 국민의힘 의원은 “안 후보자는 1983년 방위병으로 소집돼 22개월 근무했지만, 당시 방위병 복무기간은 14개월이었다”며 “왜 더 복무했는지 병적기록 세부 자료를 요청했지만, 개인정보라고 제출을 거부했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이어 “국방장관 후보자는 창군 이래 첫 방위병 출신이고, 공교롭게 대통령과 국무총리는 군에 안 갔다왔다”며 날을 세웠다.
그러고는 “대통령은 핵무기 개발에 사용할 자금을 불법적으로 북한에 송금한 혐의로 기소된 상태고, 국무총리는 미국 문화원 점거 농성을 배후에서 조종한 혐의로 실형을 살았다. 국가안보에 위기가 생기면 어쩌나 하는 국민의 우려를 대신 전한다”고 주장했다.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은 “(안 후보자가) 방위병 출신이어서 군정과 군령을 동시에 해야 하는 국방장관 자리를 맡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병적 기록 등의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즉각 반발했다.
정청래 민주당 의원은 “국가 안보의 가장 큰 위협은 윤석열의 비상계엄, 내란 같은 행위”라며 “내란 우두머리가 당원으로 있었던 내란동조 세력 국민의힘에서 방위병 출신을 운운하는 것을 참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어 “내란 극복 과정 속 민간인 출신 국방장관이 나온다는 것은 대단히 역사적으로 의미 있고 잘한 인사”라고 부연했다.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대북송금 사건을 거론한 강 의원을 향해 “이재명 대통령이 어느 은행 기관을 통해 송금한 증서가 있는가. 송금이 아니다”고 쏘아붙였다.
그러면서 “국방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 왜 정치 공세를 하는가”라며 되물었다.
이후 국민의힘 소속 성일종 국방위원장이 “복무 기간이 늘어난 것에 대해 영창을 갔다 온 것 아니냐는 제보가 꽤 있다”며 병적기록부 제출을 안 후보자에게 거듭 요구하자 여야 간 고성도 오갔다.
4성 장군 출신인 김병주 민주당 의원은 병적 기록에 상급자 평가도 나온다며 사생활 보호를 위한 자료 제출 거부가 가능하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그러자 3성 장군 출신인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은 “병역 카드에 그게(평가가) 왜 나오느냐”고 반박했다.
성 위원장은 두 의원이 고성으로 설전을 이어가자 정회했지만, 이내 소란이 잦아들면서 약 1분 만에 회의를 속개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