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넘게 흉물로 방치되고 있는 폐건물, 광주 ‘서진병원’을 광주시가 나서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명노 광주시의원(더불어민주당·서구3)은 14일 오전 열린 제334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30년 넘게 방치된 서진병원 문제는 더는 미뤄둘 수 없는 민생 현안”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 건물은 서진여고, 대광여고 등 학생들의 통학로 바로 앞에 위치해 있으며 악취·소음·무단 투기 등으로 학부모와 지역 주민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면서 “그런데도 광주시는 법적 책임이 없다며 중재 시도도 매입 제안도, 활용 계획도 내놓지 않은 채 수년간 손 놓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광주시는 수년간 실태조사만 반복해온 채 정작 시민들이 기대하는 정비 실행 계획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계속해서 판단을 미룬다면 이는 시민안전과 민생을 경시하는 무책임한 행정”이라고 지적했다.
끝으로 이 의원은 “이제는 광주시가 도시 미관·학생 안전·주민 불편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 판단하고 결단해야 할 때”라며, “서진병원 사태는 광주시의 도시 공간정책의 방향성과 책임성을 가늠하는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1982년 착공한 서진병원은 건축주의 부도로 1989년 이후 공사가 잠정 중단됐다. 당시 홍복학원 이사장인 이홍하씨가 서남대 의대 유치를 내걸고 병원 설립을 추진했으나, 자금난으로 개발이 중단됐다. 이후 부지 소유권 등을 놓고 송사가 얽히면서, 30년 넘게 폐건물로 남아있다.
이에 대해 박금화 광주시 도시공간국장은 “(관련 소송을 진행중인) 토지주가 현재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확보해서 철거하려는 의지가 강하다”며 “광주시는 작년에 정비계획을 수립할 때 해당 토지주를 모두 면담했다”고 밝혔다.
이어 “대법원에서 8월쯤 판결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판결이 나면 토지주와 별도의 협의를 해서 최대한 빨리 토지주가 건물을 매입해 철거공사가 신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