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처음 ‘교통 신호 지키는’ 대통령…안전 우려도

입력 2025-07-14 12:23 수정 2025-07-14 16:08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추가경정예산 시정연설을 위해 도착한 국회에서 영접 나온 김민기 사무총장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출퇴근 이동 시 다른 차들처럼 교통 신호를 지키고 다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역대 대통령 중 교통 통제 없이 다닌 것은 이 대통령이 유일하다. 이같은 방침은 대통령의 권위를 내려놓는 모습이란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지만, 대통령 경호 측면에서는 어려움이 커질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4일 취임 직후 “앞으로 대통령 출근한다고 길을 너무 많이 막지 마시면 좋겠다”며 “제가 아침에 출근할 때 너무 불편했고, 사실 안 좋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통령 경호처는 ‘교통 통제 구간 최소화’ 방침을 정했고, 이후 이 대통령은 신호를 지키며 출퇴근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경우 한남동 자택에서 용산 대통령실로 출퇴근하면서 교통 통제로 인해 삼각지역 인근 교통 정체가 극심했었다.

다만 경호 측면에서는 우려가 있다. 역대 대통령이 교통 통제를 하며 신속히 이동했던 것은 저격 위험 탓이라고 한다. 정차하지 않고 계속 이동하는 상태여야 이를 피할 수 있다. 또 정차 중 인근 차량 등을 통한 위협도 배제할 수 없다. 교통 통제 없는 출퇴근길은 이 대통령이 청와대에 복귀할 때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군사정권 종식 후 김영삼 전 대통령부터 문재인 전 대통령까지 역대 대통령들도 친근하고 낮은 경호를 표방했다. 정권 초기엔 차선 통제 범위를 줄이는 등 조치도 일부 취해졌다고 한다. 그러나 정권이 1년만 지나도 원위치 됐던 것도 이런 위험 탓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진행한 '국민소통 행보 2탄, 충청의 마음을 듣다' 간담회에서 시민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의 ‘타운홀 미팅’을 두고도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이 대통령은 국민의 목소리를 최대한 가까이서 듣겠다는 이유로 연단의 높이를 낮추고 국민과 거리를 최대한 좁히고 있다. 그러나 참석자들이 선착순이나 온라인 추첨 등으로 무작위로 행사에 참석하기 때문에 신원 파악이 어려운 면이 있다.

한 전직 경호업계 관계자는 14일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정지된 차량은 테러의 표적이 되기 쉽다”며 “대통령 참석 행사의 경우 과거 미리 신원조사 등을 거쳐 위험인물을 사전에 걸러내기도 했는데, 무작위로 입장하는 경우 경호·검색에 애를 먹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취지는 좋지만, 안전 확보가 최우선 목표인 경호는 본질적으로 불편한 것”이라며 “테러는 항상 어디에서든 벌어질 수 있다는 경각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