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혁신위원회는 11일 지도체제 개편 방향과 관련해 ‘당대표 단일지도체제’를 채택하는 혁신안을 발표했다. 최고위원제는 폐지하고 당 청년위원장과 여성위원장 등이 참여하는 ‘중앙당무회의’를 신설키로 했다. 지도체제 개편 혁신안은 비상대책위원회에서 의결될 경우 당장 이번 전당대회부터 적용될 전망이다.
국민의힘 혁신위원인 호준석 당 대변인은 중앙당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재창당 수준으로 당 구조를 혁신하는 방안이 논의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당 혁신위는 중앙당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당대표 단일 지도체제를 채택했다. 호 대변인은 “이기는 정당, 정책 역량을 쌓고 강화할 수 있는 정당, 잘 싸우는 정당이 되기 위해서는 리더십이 확고해야 한다”며 “더이상 봉숭아학당은 없다. 대신 민심학당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행 최고위원제도는 폐지하고, 9명으로 구성되는 중앙당무회의가 신설된다. 매주 두 차례씩 열리는 중앙당무회의에는 당대표,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사무총장, 수석대변인, 청년위원장, 여성위원장과 함께 당대표가 지명하는 원외당협위원장 2명이 참여한다.
호 대변인은 “최고위 회의에서 생중계로 싸우고 이전투구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애매했던 혼합형 지도체제를 끝내고, 당대표가 확고한 리더십으로 정책 역량을 쌓고 이길 수 있는 정당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혁신위는 전국민심회의를 신설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현재 17개 시도당 대표들을 각 당원들이 직접 선출해 현장 정치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호 대변인은 “전국민심회의는 당헌에 규정된 상임전국위원회의 기능을 행사하게 된다”며 “당헌 작성과 당규 개정, 전당대회 소집 요구 등 막강한 권한을 갖게 된다”고 설명했다.
혁신위는 비대위 의결을 마치는대로 당헌·당규 개정 등 필요한 절차를 거쳐, 다음 달 전당대회에서 선출되는 새 지도부부터 혁신안 적용을 받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