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월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1만 건을 돌파했다. 신고기한이 7월말까지여서 올해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로 거래량이 급등했던 3월 거래량을 뛰어넘을 가능성도 있다.
공급부족 우려와 유동성 증가 기대,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 전 막차 수요,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서울 외곽지역까지 불길이 확산될 조짐이 보이면서 초강력 대출규제인 6.27 대책이 불가피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6월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전날 기준 1만27건을 기록했다.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거래가 급등한 지난 3월 1만323건에 육박하는 수치다. 6월 거래 신고기한은 7월말까지여서 3월 기록을 넘을 가능성이 있다.
서울 아파트 월별 매매량이 1만건을 넘은 것은 지난 7년 6개월간 8차례뿐이다. 2018년 1월(1만2567건)과 8월(1만5017건), 2019년 10월(1만1515건)과 11월(1만1485건), 2020년 6월(1만6386건)과 7월(1만1155건), 2025년 3월(1만323건)과 6월(1만27건) 등이다. 거래량 증가에 따른 아파트값 급등을 경험한 시기들이다.
6월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증가한 데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서울 내 공급부족이 올해 하반기부터 가시화할 것이라는 우려, 경제 침체를 막기 위한 금리인하 기대감, 7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적용으로 대출한도가 줄어들기 전 ‘막차 타기’ 수요, 새 대통령 선출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진보정권이 들어서면 집값이 오른다’는 시장심리 등이 동시에 작용했다.
특히 지난 3월과 비교해 마포(3월 574건→6월 616건), 성동(672→693건), 강동(645→834건) 등 준상급지 모두 거래량이 늘었고, 노원·도봉·강북(870→1193건) 금천·관악·구로(682→837건) 등 외곽지역까지 확산했다.
서울 외곽지역으로 과열 양상이 확산할 조짐을 보이면서 6.27 대출규제가 불가피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는 지난달 27일 수도권과 규제지역에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제한을 비록해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 금지, 주담대 대출 후 6개월 내 전입신고 등 고강도 대출규제를 발표하고 다음날부터 즉각 시행했다.
전례 없는 고강도 대출규제로 서울 부동산 시장을 급격히 냉각됐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첫째 주(7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29%로 대출규제 직전 주(0.43%·6월 23일 기준)에 비해 오름폭이 현저히 꺾였다. 부동산원은 “신축 혹은 재건축 추진 단지 등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부동산 시장 참여자의 관망세 심화로 전반적인 매수 문의가 감소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 폭은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