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여수시에서 경남 남해군∼통영시∼거제시를 거쳐 부산시까지 연결하는 해상도로가 구축될 전망이다.
경남도 국토교통부가 9일 국도5호선 기점을 기존 통영시 도남동에서 남해군 창선면까지 43km 연장하는 계획을 확정해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국도 지정은 경남도가 역점 추진 중인 ‘남해안 섬 연결 해상국도’ 사업의 핵심으로 남해안 해상관광도로 구축이 본궤도에 올랐음을 의미한다.
박완수 도지사는 이날 브리핑을 열고 “남해안 주요 섬과 섬을 잇는 해상국도 건설의 밑그림이 완성된 셈”이라며 “이번 국도 지정으로 신남해(창선)대교, 사량대교, 신통영대교, 한산대첩교, 해금강대교 등 총 5개의 해상교량 건설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이어 “이제는 남해~통영~부산을 막힘없이 연결하는 해상국도를 현실화했다”며 “앞으로 남해안을 동북아시아 해양 관광 구심점으로 거듭나게 할 남해안 섬 연결 해상 국도 구축의 조속한 완료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도가 구상 중인 ‘남해안 섬 연결 해상국도’는 여수~남해~통영~거제~부산으로 이어지는 전체 152㎞ 구간의 섬 연결 해상 국도망이다.
전남 여수시를 기점으로 국도 77호선 남해~여수 해저터널 구간을 지나 남해군 창선면까지 연결하고, 이번 국도5호선 연장을 통해 통영시 수우도~사량도~도남동 구간이 새롭게 연결된다. 이어 통영시 한산도~추봉도~거제시 동부면을 거쳐 거가대로를 통해 부산광역시 송정동까지 이어질 계획이다.
경남도는 남해안 섬 연결 해상국도가 완공되면 하루 평균 최대 1만 7000대의 교통량이 발생 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연간 운행비용 694억원, 시간비용 458억원, 교통사고 비용 7억원, 환경비용 6억원 등 1000억원 이상의 비용 절감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와 함께 경제적 파급효과로 생산유발효과 약 4조 43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1조 6967억 원, 취업유발효과는 2만 5518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무엇보다 도서와 내륙 간 접근로 확충으로 섬 지역 주민들의 이동권이 보장되고, 기상 악화 시에도 이동이 가능해지면서 생활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수우도와 사량도에서 통영시내 종합병원까지 각각 24분, 15분 만에 도달할 수 있게 되면서 응급상황에서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남해에서 통영까지 기존 약 1시간 이상 걸리던 통행시간은 30분대로 단축될 수 있고, 2029년 완공 계획인 가덕도신공항까지의 이동 시간도 40분 이상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