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강국’ 북한 이제 IT강국 노리나...대학에 인공지능 학과 신설 추진

입력 2025-07-09 10:27
AI로 만들어진 이미지입니다.
세계 최고 해킹 실력을 자랑하는 북한이 대학에 인공지능(AI) 관련 학과를 만들 것으로 보인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9일 지난달 말 열린 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12차 전원회의 확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교육구조 혁신 방안이 논의됐다고 보도했다. 

노동신문은 “올해 대학들이 학부와 학과들을 통합 정리하고 새로운 학과들을 내오기 위한 사업을 적극 벌리였다”면서 “인공지능 기술 관련 학과의 신설과 같은 혁신을 앞세워야 인재를 키워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챗GPT를 비롯한 AI 기술에 꾸준한 관심을 보여왔다. 북한 명문 김일성종합대학 홈페이지 ‘룡남산’에는 지난달 27일 김일성대 인공지능기술연구소가 “GPT 기술을 이용하여 사람들의 정신 노동까지 대신하는 높은 목표를 내세웠다”는 게시물이 올라오기도 했다.

김일성대 인공지능기술연구소는 지난 2월 북한 대외선전매체 ‘조선의 소리’와 인터뷰에서 미국의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당시 한철진 김일성대 박사는 “선진 기술을 깊이 있게 습득할 수 있는 묘리와 그것을 우리의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대표적인 정보기술 연구기관인 ‘중앙과학기술통보사’도 최근 발간한 격월간지 ‘과학의 세계’ 최신호(2025년 제2호)에서 ‘인공지능의 오늘과 내일’ 특집을 통해 챗GPT를 다각도로 조명했다.

김설경 연구자는 기고문에서 GPT-4는 기계가 인공지능을 갖추었는지 판별하는 실험인 ‘튜링 테스트’를 이미 통과한 상태라면서 “앞으로 챗GPT를 비롯한 인공지능의 성능이 보다 높아져 사람의 예상을 초월하는 속도로 지능 수준이 높아지리라는 것은 틀림없다”고 전했다. 

이미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사이버 해킹 능력을 갖춘 북한이 AI 관련 연구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AI가 가져올 글로벌 변화에 뒤처지지 않으면서 체제 유지와 각종 공작에 관련 기술을 적극 활용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