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로 인한 폭염의 장기화에 대비하기 위해 대구시가 폭염대책 강화에 나선다. 최근 여름철 무더위 양상이 기존 대책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 됐기 때문이다.
시는 8일 폭염종합대책 기자설명회를 열어 폭염 장기화에 대비해 폭염대책 비상단계를 1단계에서 2단계로 높여 한층 강화된 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시가 폭염 대책을 강화한 것은 일찍 찾아온 무더위에 온열환자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대구는 지난 6월 28일 폭염경보 발령 이후 낮 최고 기온 35~37도의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한 대구 온열환자 발생 수는 41명(7일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9명)보다 급증했다.
시는 길고 독해진 폭염이 일상이 됐다고 보고 장단기 대책을 마련했다. 특히 중장기 과제 분야인 폭염예측모델(폭염디지털트윈) 개발 완료를 서두를 계획이다. 시는 기상청과 함께 올해 말 폭염디지털트윈 개발을 완료하고 폭염 예측 등에 활용할 방침이다.
폭염디지털트윈은 농촌지역이나 공장 등 작업장에 설치한 온도 측정 센서들을 통해 온도 정보를 모으고 이를 활용해 폭염 예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실생활 공간의 온도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농사 현장, 야외작업장 등에 보다 신속한 폭염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그늘막길 내비게이션 기능도 탑재해 시민들의 이동 편의를 높일 계획이다. 이 내비게이션은 온도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시는 당장 눈앞에 닥친 올해 폭염에는 모든 인력·시설을 동원해 대응하기로 했다. 필요시 추가 시설도 신속하게 설치할 방침이다. 온열질환자가 제일 많이 발생하는 농업인과 공사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난안전기동대 등 가용 인력을 모두 동원해 매일 예찰활동을 실시할 방침이다. 무더위 속 야외에서 배달 등을 하는 이동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휴식공간을 2곳에서 16곳을 늘리고 편의점 쿠폰도 제공한다. 쪽방촌 거주자와 노숙인, 어르신 등 취약계층 보호와 지원도 강화한다.
시에서 운영 중인 무더위쉼터 1454곳 전체를 집중 점검한다. 쿨링포그, 버스정류장 스마트쉘터, 그늘막, 클린로드, 수경시설(분수), 살수차 등 기존의 지열저감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고 필요한 곳에는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대구소방안전본부, 대구시의사회 등과 협력해 온열질환자 긴급의료 이송체계도 강화한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은 “폭염은 철저히 대비하면 막을 수 있는 재난인 만큼 온열질환으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