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고양시, 국내 첫 ‘공유형 에너지저장장치 실증’ 본격 추진

입력 2025-07-08 10:21

경기도는 고양시, 한국전력공사, LS ELECTRIC과 함께 국내 최초로 공유형 에너지저장장치(ESS) 실증사업을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전력망의 안정성과 전기요금 절감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공공기관과 민간이 협력하는 새로운 에너지 신사업 모델로, 전력이 과잉 생산되는 시간대에 에너지를 저장하고, 수요가 급증할 때 저장된 전력을 방출하는 방식으로 전력 계통의 안정화와 에너지 비용 절감을 동시에 노린다.

이날 4개 기관은 고양어울림누리에서 ‘공유형 ESS 실증사업’ 업무협약식을 체결하고, 전력 계통 안정화와 에너지 신사업모델 구축을 위한 협력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고양어울림누리 등 고양시 내 공공기관과 전력수요가 많은 민간 사업지에 올해 연말까지 ESS를 설치하고, 2026년까지 2년간 실증을 진행한다. ESS의 총 용량은 5㎿h(배터리 기준)이며, 심야 등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전기를 저장한 뒤, 여름철 한낮 등 전력 수요가 많은 시간에 주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총 사업비는 32억원으로, 경기도와 고양시가 5억원을 부담하는 ‘스마트 ESS·EMS(에너지관리시스템) 설치 지원사업’과 국비·지방비·민간자본이 함께 투입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 27억원이 포함된다.

공유형 ESS 구조는 다수의 에너지 수용자가 공동으로 참여하고 인센티브를 나누는 방식으로, 경제성과 확장성 모두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도는 이 시스템이 정전을 예방하고,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에너지를 저장해 전기요금 절감 효과도 유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인 고양시에서 실증이 시작돼 상징성도 크다.

공공기관의 경우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에 따라 계약전력이 일정 규모 이상이면 ESS 설치 의무가 있다. 이번 공동 설치로 일부 기관은 별도 장비 구축 없이 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 예산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고영인 도 경제부지사는 “공유형 ESS 실증사업은 전력시스템 전환의 선도적 시도로서 공공이 선도하고 민간이 확산하는 민관협력의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며 “경기도는 앞으로도 에너지 신사업 발굴과 미래산업 성장을 위한 에너지 환경조성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