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2년 7월, 충남 보령 앞바다에 상륙한 독일 선교사 칼 귀츨라프(1803~1851)는 전도문서와 성경은 물론 감자 씨앗, 감기약, 한글 주기도문까지 건네며 백성들과 소통했다. 그는 한글을 서양 학계에 처음 소개하고, 한문 성경을 조선 국왕에게 헌정하는 등 복음을 삶으로 전한 ‘총체적 선교’의 원형을 제시했다. 7월 21일부터 8월 12일까지 보령 일대에 머물며 복음 전파에 힘썼다.
그로부터 193년이 흐른 지금, 그가 머물렀던 보령에서 그의 삶과 신앙을 재조명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보령기독교역사문화선교사업회(이사장 최태순 목사)는 5일 충남 보령머드테마파크 컨벤션관에서 ‘보령 도서 선교 역사 및 관광 연구를 위한 학술 세미나’를 개최했다. ‘귀츨라프의 보령 방문 193주년을 기념해 그의 선교 활동을 신학적·역사적·사회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학술 연구가 지역 문화 발전으로 이어지는 의미를 모색하는 자리였다.
귀츨라프 선교지의 지리적 근거 제시
그동안 귀츨라프가 1832년 조선에 체류했던 실제 장소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학계 내 다양한 견해가 존재해 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이 논란에 대한 실증적 주장들이 펼쳐졌다.
기독교한국루터회 칼 귀츨라프 연구위원회 위원장인 최태성 박사는 주제강연 ‘칼 귀츨라프의 보령 도서 선교 연구’ 발표에서 귀츨라프가 탄 암허스트호가 정박했던 ‘간갱(澗鏡)’이라는 항구가 바로 원산도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주장했다.
그는 귀츨라프의 항해 일지에 기록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근거로 제시했다.
“암허스트호는 조선 도선사의 안내를 받으며 안전한 정박지가 있고 고관들을 만날 수 있으며 무역 문제를 조정하고 식량을 구할 수 있는 ‘간갱’이라 불리는 만으로 이동했다. 조선에는 넓고 안전한 항구들이 있고, 그중에서도 우리가 정박했던 간갱은 1급 항구였다.”
최 박사는 “이 간갱이 바로 원산도 또는 고대도 해역으로 추정된다. 그중에서도 육지와 가까우며 조선 관리들과의 접촉이 가능했던 원산도가 가장 유력한 후보지”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귀츨라프의 항해 일지, 선교 보고서, 그리고 당시의 지형·기후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귀츨라프의 감자 보급과 의료 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인구 밀도와 공동체 형성 여부도 주요 근거로 제시됐다. 당시 원산도는 어업과 농업이 공존하며 실질적인 마을이 형성돼 있었고, 주민 접촉 기록과도 일치한다. 반면 고대도는 문헌상 거주 흔적이 제한적이라는 점과 대비된다.
최 박사는 마지막으로 “조선 관리와 공식적인 필담 및 교류가 이뤄진 장소는 육지와의 왕래가 빈번하고 관리의 접근이 가능한 위치였어야 한다”며 “원산도는 육지와 가장 가까운 대규모 섬으로서 이 조건에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삶으로 전한 복음, 그러나 한계도
이어진 강의에서 장로회신학대 석좌교수 최영근 박사는 ‘귀츨라프의 조선 내항과 선교 활동의 교회사적 의미에 관한 고찰’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앞선 강의에서 귀츨라프의 사역 지역과 관련된 논쟁 부분에 대해 “암허스트호가 고대도에 정박했다는 조선 정부 자료에 간과할 수 없다는 주장에는 완전히 동의하기 힘들다”며 조선 기록의 신뢰성을 언급했다. 그러나 “귀츨라프가 조그마한 배로 여러 섬을 돌아다닌 것으로 보여 고대도에만 있었다는 평가도 어불성설”이라며 “귀츨라프의 선교 활동 지역을 보령 앞바다의 여러 섬을 폭넓게 포함하는 시각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격적인 강의에서 그는 귀츨라프의 조선 선교 활동을 신학적·역사적·선교적 관점에서 다층적으로 조명했다. 최영근 박사는 “감자 보급, 의료 활동, 성경 번역 등 다방면의 활동은 말씀과 삶을 함께 전한 총체적 선교의 실현으로 평가된다. 이는 한국 개신교 선교의 초석이 되는 정신적 유산”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그는 “귀츨라프의 선교 보고서에는 조선을 ‘문명화해야 할 미개한 땅’으로 보는 19세기 서양 중심주의적 시선이 담겨 있다. 이는 오늘날 선교 신학에서 비판받는 요소가 볼 수 있다”고 짚었다. 최 박사는 “귀츨라프의 사역은 ‘복음은 말보다 삶으로, 거리보다 접촉으로, 위계보다 동행으로 전해진다’는 철학을 통해 오늘날 선교가 성찰해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고 정리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김동일 보령시장, 이희중 보령시기독교연합회 회장 등 지역 인사들이 참석해 축사와 격려사를 전했다. 특히 칼 귀츨라프를 주제로 한 이재인 소설가의 소설 ‘귀츨라프’ 출판기념식도 함께 진행됐다.
최태순 사업회 이사장은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선교 순례길’ 조성을 통해 지역 관광과 신앙 유산을 잇는 구체적 실천에 나설 계획”이라고 전했다.
보령=글·사진 김아영 기자 sing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