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기장 아파트 화재로 어린이 2명이 숨진 사고와 관련해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재발 방지를 위한 돌봄·안전 대책 마련에 나섰다.
부산시는 3일 오전 9시 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실에서 행정부시장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아이돌봄서비스 확대, 노후 아파트 소방설비 점검, 유가족 심리 지원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전날 오후 10시58분쯤 기장군의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로 9세와 6세 여아 자매가 숨진 데 따른 조치다.
먼저 시는 야간 돌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24시간 아이돌봄서비스’를 본격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 심야·새벽(오후 10시~다음날 오전 6시) 등 취약 시간대에도 가정이 시간 제약 없이 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그간 해당 시간대에는 할증요금 등으로 부담이 컸고, 아이돌보미 연계도 어려워 실질적 이용률이 낮았다는 점을 고려해 시는 취약계층의 돌봄 이용료를 시비로 전액 지원하고, 아이돌보미에게는 교통비와 수당을 추가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입원 아동 대상 ‘부산형 입원 아동 돌봄서비스’도 함께 확대된다. 현재 6곳에서 운영 중인 ‘부산형 365 열린 시간제 어린이집’은 오는 8월부터 10곳으로 늘어난다. 시는 보건복지부와의 협의를 통해 국비 지원을 요청하고, 부족한 예산은 시비로 우선 충당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이와 함께 노후 공동주택에 대한 소방설비 전수조사 및 스프링클러 미설치 아파트에 대한 실태 점검도 병행한다. 구조적 화재 예방책 마련을 위해 행정부시장 직속의 ‘재난 약자 화재 예방 전담팀(TF)’도 운영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날 오전 화재 사고 현장을 직접 찾아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신속한 피해 복구를 당부했다.
박 시장은 현장에서 “가슴 아픈 사고로 어린 생명이 희생된 데 대해 깊은 슬픔과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맞벌이 가정의 돌봄 공백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야간 긴급 돌봄 인프라를 확충하고, 스프링클러 미설치 아파트를 중심으로 화재 예방 체계를 전면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